국내 주요 금융지주회사와 은행들이 3분기에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분기보다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줄어들고 보유 지분 매각 이익 등 1회성 요인이 반영된데 따른 실적 개선이어서 ‘외화내빈’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은행들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악화해 우려를 낳고 있다.
●신한금융지주 2조원 클럽…나머지는 1조원대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3분기 중 순익이 6천52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8% 증가했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조196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92.5% 급증하면서 국내 금융지주로는 처음으로 올해 2조 원을 넘어섰다.3분기 누적 순이익이 2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이후 3년만이다.
2분기 적자를 냈던 우리금융도 3분기에 5천87억원 흑자로 돌아섰으며 누적 순이익도 1조411억원을 기록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조원 클럽’에 입성했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기업은행은 3분기 순이익이 3천647억원,누적 순익은 1조482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나금융지주는 올해 9월 말까지 누적 순이익이 7천398억원이었으나 연간으로는 1조원대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권의 3분기 실적이 호전된데는 충당금 적립액 감소와 지분 매각 등 일회성 요인이 컸다는 분석이다.
우리금융의 충당금 적립 규모는 2분기 1조1천190억원에서 3분기 5천198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하이닉스 지분 매각이익 1천500억원 등 일회성 이익도 순이익에 반영됐다.
기업은행은 3분기때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모두 전분기보다 줄었다.그럼에도 3분기때 3천억원 이상 순이익을 올린 것은 충당금 규모가 2분기 5천808억원에서 4천19억원으로 30.8% 감소했기 때문이다.
하나금융도 대손충당금이 1천119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천560억원 줄었다.
다만 신한금융은 충당금 전입액이 2분기 3천70억원에서 3분기 3천583억원으로 늘었으나 영업이익이 늘고 하이닉스 매각이익 등 일회성 요인이 반영돼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자산건전성,수익성 ‘뒷걸음’
겉보기에 실적은 좋아졌지만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은 뒷걸음쳤다.
은행들의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등 여파로 연체율이 급등했다.
특히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2분기 0.82%에서 3분기 1.33%로 0.51%포인트나 상승했다.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1.16%에서 2.21%로 1.05%포인트나 뛰었고,가계대출 연체율도 0.41%에서 0.57%로 0.16%포인트 올랐다.우리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3.85%로 전분기보다 0.82%포인트 높아졌다.
기업은행의 3분기 총 연체율은 0.72%로 전분기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분기 대비 0.14%포인트 상승한 1.85%를 기록했다.
하나은행의 전체 연체율도 2분기 0.57%에서 3분기 0.70%로 높아졌다.
신한은행은 6월말 0.50%에서 9월말 0.72%로 0.22%포인트 상승했다.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1%에서 1.21%로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신한은행은 일부 구조조정 대상 기업 여신의 연체가 일시적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대출금리 하락으로 기업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2분기보다 0.13%포인트 하락한 2.71%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은행의 NIM은 하락세를 나타냈다.NIM은 은행의 예대마진에다 유가증권 운용 수익과 조달비용을 포함한 전체 이자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수익성 지표다.NIM이 하락했다는 것은 은행의 핵심이익인 이자이익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우증권 구용욱 수석 연구위원은 “2분기보다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줄어들면서 3분기 은행권의 실적이 예상을 웃돈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4분기 때는 연말이라 통상 비용이 많이 든다”면서도 “구조조정에 따른 충당금을 얼마나 적립하느냐에 따라 실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그러나 2분기보다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줄어들고 보유 지분 매각 이익 등 1회성 요인이 반영된데 따른 실적 개선이어서 ‘외화내빈’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은행들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악화해 우려를 낳고 있다.
●신한금융지주 2조원 클럽…나머지는 1조원대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3분기 중 순익이 6천52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8% 증가했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조196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92.5% 급증하면서 국내 금융지주로는 처음으로 올해 2조 원을 넘어섰다.3분기 누적 순이익이 2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이후 3년만이다.
2분기 적자를 냈던 우리금융도 3분기에 5천87억원 흑자로 돌아섰으며 누적 순이익도 1조411억원을 기록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조원 클럽’에 입성했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기업은행은 3분기 순이익이 3천647억원,누적 순익은 1조482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나금융지주는 올해 9월 말까지 누적 순이익이 7천398억원이었으나 연간으로는 1조원대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권의 3분기 실적이 호전된데는 충당금 적립액 감소와 지분 매각 등 일회성 요인이 컸다는 분석이다.
우리금융의 충당금 적립 규모는 2분기 1조1천190억원에서 3분기 5천198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하이닉스 지분 매각이익 1천500억원 등 일회성 이익도 순이익에 반영됐다.
기업은행은 3분기때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모두 전분기보다 줄었다.그럼에도 3분기때 3천억원 이상 순이익을 올린 것은 충당금 규모가 2분기 5천808억원에서 4천19억원으로 30.8% 감소했기 때문이다.
하나금융도 대손충당금이 1천119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천560억원 줄었다.
다만 신한금융은 충당금 전입액이 2분기 3천70억원에서 3분기 3천583억원으로 늘었으나 영업이익이 늘고 하이닉스 매각이익 등 일회성 요인이 반영돼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자산건전성,수익성 ‘뒷걸음’
겉보기에 실적은 좋아졌지만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은 뒷걸음쳤다.
은행들의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등 여파로 연체율이 급등했다.
특히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2분기 0.82%에서 3분기 1.33%로 0.51%포인트나 상승했다.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1.16%에서 2.21%로 1.05%포인트나 뛰었고,가계대출 연체율도 0.41%에서 0.57%로 0.16%포인트 올랐다.우리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3.85%로 전분기보다 0.82%포인트 높아졌다.
기업은행의 3분기 총 연체율은 0.72%로 전분기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분기 대비 0.14%포인트 상승한 1.85%를 기록했다.
하나은행의 전체 연체율도 2분기 0.57%에서 3분기 0.70%로 높아졌다.
신한은행은 6월말 0.50%에서 9월말 0.72%로 0.22%포인트 상승했다.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1%에서 1.21%로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신한은행은 일부 구조조정 대상 기업 여신의 연체가 일시적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대출금리 하락으로 기업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2분기보다 0.13%포인트 하락한 2.71%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은행의 NIM은 하락세를 나타냈다.NIM은 은행의 예대마진에다 유가증권 운용 수익과 조달비용을 포함한 전체 이자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수익성 지표다.NIM이 하락했다는 것은 은행의 핵심이익인 이자이익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우증권 구용욱 수석 연구위원은 “2분기보다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줄어들면서 3분기 은행권의 실적이 예상을 웃돈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4분기 때는 연말이라 통상 비용이 많이 든다”면서도 “구조조정에 따른 충당금을 얼마나 적립하느냐에 따라 실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