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20억원을 지원받는 올해의 로봇 시범사업에 유진로봇, 큐렉소, 로봇에버, 이디 등 10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지식경제부는 올해 로봇 시범사업 아이디어 공모에 참여한 47개 컨소시엄 중 모두 10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유진로봇(교육), NT리서치(운반) 등 6개 컨소시엄은 국내에서 시범사업을 벌이게 되며, 큐렉소(수술), 로봇에버(공연) 등 4개 컨소시엄은 미국, 이탈리아 등 해외에서 시범사업을 하게 된다.
사업을 주관하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이들 10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사업내용 보완을 거쳐 이달 중 계약을 하고 올해 컨소시엄당 6억∼20억원(150억원가량)의 사업비를 지급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10개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2014년까지 국내 2300억원, 해외 2억 3000만 달러(약 2515억원)의 신규 시장이 새로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박정성 지경부 로봇산업과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보안, 문화, 교육, 실버케어 등 유망 분야별로 로봇 시제품을 육성해 국내외에서 초기 시장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지식경제부는 올해 로봇 시범사업 아이디어 공모에 참여한 47개 컨소시엄 중 모두 10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유진로봇(교육), NT리서치(운반) 등 6개 컨소시엄은 국내에서 시범사업을 벌이게 되며, 큐렉소(수술), 로봇에버(공연) 등 4개 컨소시엄은 미국, 이탈리아 등 해외에서 시범사업을 하게 된다.
사업을 주관하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이들 10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사업내용 보완을 거쳐 이달 중 계약을 하고 올해 컨소시엄당 6억∼20억원(150억원가량)의 사업비를 지급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10개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2014년까지 국내 2300억원, 해외 2억 3000만 달러(약 2515억원)의 신규 시장이 새로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박정성 지경부 로봇산업과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보안, 문화, 교육, 실버케어 등 유망 분야별로 로봇 시제품을 육성해 국내외에서 초기 시장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4-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