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20% 1년새 40% 급증…연금·건보 등 비소비지출↑
가계부채가 늘어남에 따라 지난 2분기 가계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자비용을 비롯해 조세, 국민연금, 건강보험과 같은 비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아 가계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이자비용이 2분기에 8만 6256원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 증가했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한 가구가 한 해에 103만 5072원을 이자로 내는 셈이다.
특히 가계의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이자비용의 비중이 이번 2분기에 2.32%로,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래 가장 높았다.
가계의 이자 부담은 저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컸다. 소득기준 하위 20%인 1분위의 이자비용은 2분기에 3만 1880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0.8%나 급증했다. 1분위 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75%로, 전체 계층 가운데 가장 높았다. 2분위는 2.24%, 3분위 2.29%, 4분위 2.42%, 5분위 2.24%였다. 이자 부담 급증은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의 ‘2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가계신용 잔액은 876조 3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분기 가계신용은 전분기보다 18조 9000억원 늘면서 1분기 중 증가폭(10조 40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가계부채가 900조원 가까이로 늘어나고 기준금리도 인상됨에 따라 가계의 이자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분기 비소비 지출은 월평균 70만 84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소득세, 자동차세 등 경상조세가 10만 1932원으로 8.4% 늘었다.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10만 6320원)과 연금(10만 1308원) 지출도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3.9%, 6.2% 증가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8-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