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산업 활성화 3대 전략 발표
KT가 국내 소프트웨어(SW)산업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SW 가치판단 혁신’ ‘SW 개발 여건 지원’ ‘SW 시장 진출 지원’을 담은 ‘3행(行) 전략 방안’이 핵심이다.
연합뉴스
이석채 KT 회장이 29일 서울 광화문 사옥 올레스퀘어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앞장서겠다.”고 선언한 뒤 관련 업계 사장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재선 넥스알 사장, 오재철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사장, 이 회장, 최형태 씨에프정보통신 사장, 배태복 오픈SNS 사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석채 KT회장은 29일 서울 광화문 사옥 올레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SW산업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 회장은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이 SW에 주력하며 세계로 진출하는 가운데 한국의 SW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며 “기존 관행을 깨는 우리의 전략을 시작으로 국내 SW가 세계 시장에서 활약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KT는 SW 가치판단 혁신 전략 따라 SW의 미래성과 개발 기업의 전문성 등을 기반으로 가격을 설정하는 가치 구매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SW를 용역개발의 하나로 인식해 SW 구매비를 인건비로 여겨온 관행을 버리겠다는 뜻이다.
이 회장은 “국내 기업은 SW를 하도급으로 여기는 데다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SW 개발업체에 SW 가치가 아닌 노동의 대가를 지불한다.”면서 “이로 인해 국내 SW업체들은 일하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며 주문자 입맛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느라 세계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치 구매 시행을 위해 KT는 전담 평가 조직을 신설할 방침이다. 또 SW 가치 평가 기준도 정립한다. 내년 1분기 안에 가치 구매 산정 기준을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SW 구매를 2015년까지 연간 3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SW 개발 여건 지원을 위해선 SW 개발업체가 SW를 장기적으로 개발하고 유지·보수까지 담당하며 사업을 예측하도록 돕도록 할 계획이다. 오라클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의 SW처럼 세계적인 상품을 만들 수 있게 지원하는 방안이다. 이 회장은 “용역 계약을 하면 SW에 대한 소유권과 지적재산권이 발주사에 돌아가지만 KT는 개발업체에 이 권한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또 개발업체에 SW에 대한 유지·보수 권한을 주면 SW가 안정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협력사에 예측 가능한 정보를 주기 위해 시행 중인 ‘수요 예보제’를 하드웨어(HW)에서 SW로 확대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SW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큐베이션센터를 설립해 KT가 가진 지적재산권을 공동 활용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SW 시장 진출 지원 방안으론 오픈마켓 구축이 꼽혔다. KT는 자체 구축한 기업 솔루션 오픈 마켓을 통해 시장을 형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 아시아 애플리케이션(앱) 마켓인 오아시스(OASIS), 글로벌 앱 마켓(WAC) 등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9-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