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장마에 모기 씨 말라…모기약도 안팔려

마른장마에 모기 씨 말라…모기약도 안팔려

입력 2014-08-01 00:00
수정 2014-08-01 0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비 안와 모기 개체수↓…모기약 판매 줄어

여름마다 ‘모기의 제물’이 되는 탓에 밤잠을 설치는 회사원 김다솔(30·여)씨는 올해 여느 때보다 산뜻한 여름을 보내고 있다. 모기에 물리는 횟수가 눈에 띄게 뜸해졌기 때문이다.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는 고인 물에서 자라는데 올해는 장마철에 비가 좀처럼 오지 않아 모기 개체 수가 예년보다 줄었다.

이에 ‘모기약 성수기’인 여름에 살충제·방충제 등 모기약 판매가 주춤하다.

1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때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 5월 파리·모기 살충제 매출은 지난해 5월보다 23.7% 증가했다.

그러나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한 매출 신장률은 6월 들어 4.3%로 둔화했고, 7월에는 -2.7%를 기록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모기향, 모기 패치, 방충 밴드 등 해충을 쫓으려 사용하는 방충제 매출은 최근 3개월 내내 역신장했다. 5∼7월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8% 줄었다.

매출 감소 폭은 5월 -16.7%, 6월 -18.2%, 7월 -20.6%로 모기의 계절인 한여름이 다가올수록 점점 커졌다.

이호철 롯데마트 일상생활 상품기획자(MD)는 “이른 더위로 5월부터 모기가 출현해 초여름을 앞두고 모기약 매출이 일시적으로 늘었으나, 정작 6∼7월에는 마른 장마로 모기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 이어지면서 매출이 급격히 줄었다”고 말했다.

오픈마켓 G마켓에서는 5∼7월 LED 램프, 초음파 모기 퇴치기 등을 포함한 해충·모기 퇴치기 판매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했다. 판매 감소율은 5월 -1%, 6월 -11%, 7월 -17%로 갈수록 높아졌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일본뇌염 예측조사사업을 위해 서울시내 곳곳에 유문등(모기를 유인하는 등)을 설치해 채집한 모기 개체 수는 올해 들어 7월까지 2천56마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천664마리)의 56% 수준이다.

평년보다 기온이 높았던 올해 5월 첫째 주에 잡힌 모기는 58마리로 작년 같은 기간(12마리)보다 383% 증가했다.

반면 7월 넷째 주에 채집한 모기 개체 수는 지난해 1천207마리였는데 ‘마른 장마’가 지나간 올해는 작년의 15%인 185마리에 그쳤다.

모기는 웅덩이나 연못 같은 고인 물에 알을 낳고,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도 물속에서 헤엄치면서 자란다.

서울시 생활보건과의 한 관계자는 “모기 생장에 기온과 습도가 영향을 미치는데 올해는 비가 오지 않아 개체 수가 줄었다”며 “여름에 강우량이 어느 정도 뒷받침돼야 모기가 서식할 환경이 조성된다”고 설명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은 지난 14일 효문고등학교에서 마을버스 운행과 관련한 학부모 간담회를 주선해 지역 교통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효문고 교장, 효문중 교장, 교감, 도봉구청 관계자, 지역운수업체 및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 학부모 등 약 20명이 참석해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의 증차, 노선변경 및 신설 등에 대해 건의했다. 학부모들은 “인근지역 주택공급 및 개발로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는 물론 덕성여대까지 교통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배차간격이 길고, 무엇보다 쌍문역 같은 지역수요가 많은 교통요지와의 접근성에 문제가 많다”라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숙원사업”이라고 적극 건의했다. 학교 측에서도 “학교 위치가 너무 외져서 기간제교사를 채용할 시 지원율이 상당히 낮고, 특히 초임교사들에게도 교통상의 문제로 출퇴근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 의원은 “학생복지뿐만 아니라 교통복지 차원에서 학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충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