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아동용 의류서 환경호르몬 검출”

“일부 아동용 의류서 환경호르몬 검출”

입력 2014-08-07 00:00
수정 2014-08-07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녹색소비자연대·전순옥 의원실, 남아용 의류 45개 조사

일부 아동용 의류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전순옥 의원실과 함께 올여름 신상품으로 출시된 7∼8세 남아용 청바지 23개, 셔츠 22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닥스키즈, 베베, 알로봇, 타미힐피거키즈, 폴스미스주니어 등 12개 브랜드의 옷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NPEO)가 검출됐다고 7일 밝혔다.

이 중 베베와 알로봇의 경우 유럽 섬유환경 인증기준의 기준치(250㎎/㎏)보다 4배 이상 많은 1천321㎎/㎏, 1천59㎎/㎏이 각각 검출됐다.

특히 베베 제품에서는 옥티페놀에톡시레이트(OPEO) 성분도 나왔다. 세정제에 주로 사용하는 NPEO는 위해성 우려 탓에 유럽의 경우 2003년 사용을 제한한 물질이다.

전체 45개 중 7개 제품은 국가기술표준원의 안전·품질표시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ASK주니어 셔츠는 납 성분이 기준치(90㎎/㎏)의 14배인 1천285㎎/㎏ 검출됐고, 닥스키즈, 리틀뱅뱅, 빅애플키즈, 아르마니주니어, 트윈키즈 등 5개 브랜드의 청바지는 pH(수소이온농도)가 기준치(4.0∼7.5)보다 높은 8.0으로 나타났다.

또 25개 제품은 작은 부품에 대한 취급 주의사항을 표시하지 않았고, 13개 제품은 한국소비자원의 섬유권장기준(일광견뢰도·마찰견뢰도)에 미달했다.

한편 조사대상 청바지 23개의 가격은 2만9천원부터 18만원까지 다양했다.

이 가운데 품질이 우수한 제품은 아워큐주니어(2만9천900원), 짐보리(4만3천원), 캔비즈(3만6천293원) 등이었다.

셔츠 23개의 가격은 1만6천171원부터 11만6천704원으로 다양했으며, 이 중 블루테일(9만9천665원)과 트리시(2만9천900원) 등의 품질이 우수했다.

녹소연은 소비자 안전을 위해 pH, 납 함유량,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검출된 의류를 생산한 업체가 품질 개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세계적으로 사용금지가 확산한 NPEO와 OPEO 성분에 대한 기준 마련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녹소연 관계자는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표시가 제대로 안 돼 있거나 안전품질 표시기준을 위반한 제품은 국가기술표준원에 조치를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