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투자증권은 18일 한국에 투자된 ‘차이나 머니’(중국계 자금)는 270억 달러로, 전 세계에 투자된 자금의 1.1∼2.4% 비중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영환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차이나 머니의 한국 투자금액은 직접투자 56억4천만달러, 포트폴리오 투자(주식) 86억6천만달러, 포트폴리오 투자(채권) 127억8천만 달러 등 270억9천만 달러라고 밝혔다.
이는 경상수지 방식으로 집계한 광의의 차이나 머니 2조4천29억 달러의 1.1%, 해외투자 기관 자금을 합산한 협의의 차이나 머니 1조1천182억 달러의 2.4%에 해당한다.
김 연구원은 “차이나 머니는 중국 외환보유고 증가, 중국 경제성장률 하락, 임금 상승 등으로 구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한국투자 비중도 크지 않다”며 “향후 차이나 머니의 국내 유입은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이어 “올해 국내 증시의 중국계 자금 순유입 규모는 7월말 기준 1조9천억원으로 외국인 순매수의 30% 비중”이라며 “차이나 머니는 한국 증시의 키 플레이어(Key-player)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을 볼 때 자국 편향 현상을 보여 중국의 소비 및 구조변화와 관련한 업종을 집중적으로 매수할 가능성이 크다”며 호텔·카지노·화장품 등의 소비업종과 신에너지 자동차, 환경보호 업종의 수혜를 전망했다.
연합뉴스
김영환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차이나 머니의 한국 투자금액은 직접투자 56억4천만달러, 포트폴리오 투자(주식) 86억6천만달러, 포트폴리오 투자(채권) 127억8천만 달러 등 270억9천만 달러라고 밝혔다.
이는 경상수지 방식으로 집계한 광의의 차이나 머니 2조4천29억 달러의 1.1%, 해외투자 기관 자금을 합산한 협의의 차이나 머니 1조1천182억 달러의 2.4%에 해당한다.
김 연구원은 “차이나 머니는 중국 외환보유고 증가, 중국 경제성장률 하락, 임금 상승 등으로 구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한국투자 비중도 크지 않다”며 “향후 차이나 머니의 국내 유입은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이어 “올해 국내 증시의 중국계 자금 순유입 규모는 7월말 기준 1조9천억원으로 외국인 순매수의 30% 비중”이라며 “차이나 머니는 한국 증시의 키 플레이어(Key-player)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을 볼 때 자국 편향 현상을 보여 중국의 소비 및 구조변화와 관련한 업종을 집중적으로 매수할 가능성이 크다”며 호텔·카지노·화장품 등의 소비업종과 신에너지 자동차, 환경보호 업종의 수혜를 전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