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바게뜨·뚜레주르 등 위해상품 판매 원천 금지

파리바게뜨·뚜레주르 등 위해상품 판매 원천 금지

입력 2014-09-26 11:00
수정 2014-09-26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리바게뜨, 던킨도너츠, 배스킨라빈스, 빚은, 뚜레주르 매장 7천여 곳에서 위해상품 판매가 원천 금지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6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SPC그룹과 CJ푸드빌에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 인증서’를 수여했다.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 적용 매장은 SPC그룹 소속 파리바게뜨, 던킨도너츠, 배스킨라빈스, 빚은 5천690여 곳과 CJ푸드빌의 뚜레주르 1천300여 곳이다.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이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환경부, 기술표준원 등 정부기관에서 판정한 위해상품 정보를 대한상의 전자상품정보 사이트 ‘코리안넷(www.koreannet.or.kr)’에 전송하면, 그 정보가 유통업체로 즉시 전달돼 매장 계산대에서 판매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을 도입하면 위해상품으로 분류된 우유·사탕·초콜릿·과자류 등을 계산할 때 바코드를 찍으면 위해상품이라는 표시가 뜬다.

그뿐만 아니라 밀가루·설탕·생크림 등 빵류의 주원료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해당 원료로 만든 빵 제품을 신속하게 전량 폐기하는 게 가능해졌다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1동 삼계탕 나눔 행사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29일 가재울 중앙교회에서 열린 북가좌1동 삼계탕 나눔 행사에 참석해 어르신들을 격려하고 지역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북가좌1동 사회보장협의회(주관)와 가재울 새마을금고(후원)가 함께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사회보장협의회, 통장단, 새마을부녀회 등 봉사회원들이 참여해 경로당 어르신 150여 명을 초대해 더운 여름을 이겨낼 보양식 삼계탕을 대접했다. 김 의원은 어르신들께 큰절로 인사를 드려 박수받았다. 김 의원은 “시의원의 역할은 ‘지역은 넓고 민원은 많다’라는 좌우명처럼, 서울시 예산을 지역에 가져와 지역 발전과 주민 편익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서울시의회와 서대문구의 주요 소식, 그리고 지역 역점 사업인 시립도서관 건립, 가재울 맨발길 조성, 학교 교육 환경 개선, 경로당 관련 진행 내용 등을 설명하며 어르신들의 민원을 직접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의원은 행사 시작 전 일찍 도착해 봉사자들과 교회 관계자들을 격려하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자리에서 교회 주변 예배 시간 주차 허용 문제와 중앙교회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1동 삼계탕 나눔 행사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