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통계 산정 문제 있어” 1인당 통신비 5만 4400원
‘세계 최고 수준의 가계통신비.’이 말은 우리나라 가계통신비에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말이다. 우리나라 가계통신비는 진짜 다른 나라들보다 비싼 걸까. 우리나라 가계통신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E) 통계 기준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가구원 수를 고려하면 세계 7위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OECD의 2013 커뮤니케이션 아웃룩 통계에서 우리나라의 가구당 통신비는 약 16만 3400원으로 일본(17만 6800원), 미국(16만 8600원)에 이어 세계 3위지만 가구원 수로 나눈 1인당 통신비는 5만 4400원으로 7위로 뚝 떨어졌다. 1인당 통신비 환산을 할 경우 룩셈부르크(7만 4600원), 일본(7만 800원), 핀란드(6만 6900원), 오스트리아(6만 5400원), 미국(6만 4900원), 캐나다(5만 7200원) 순이다.
최 교수는 “가계통신비를 계산할 때는 가구원 수, 휴대전화 보급률, 유·무선 통신서비스요금, 통신사용량,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 단말기 교체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기준에 따라 통계 결과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며 통계 비교의 맹점을 꼬집었다.
OECD 통계는 가계통신비 수준을 비교할 때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정부도 정책 입안 과정에서 참고하는 자료로 알려져 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2-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