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전 모바일카드시장 진출한 유심형 하나·비씨에 유리 분석
모바일카드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카드사들의 신경전이 뜨겁다. 금융 당국이 최근 모바일카드 단독 발급을 허용하기로 하면서 카드사들마다 이해득실 따지기에 바쁜 모습이다.
다만 유심형 모바일카드 활성화를 위해선 NFC 단말기를 가맹점에 설치해야 한다. 카드 가맹점 전체 200만곳 중 NFC 단말기가 설치된 곳은 2만~3만곳으로 추정된다. 설치비가 기존 단말기(POS)의 1.5~2배 수준이다. 유심형 카드사는 기존 집적회로(IC) 단말기에 NFC 기능을 내장하자고 요구한다. 대형사 위주의 앱형(신한·국민·현대·삼성·롯데·농협카드 등 6곳) 카드사들은 비용을 이유로 난색을 표시한다. “시장 초기 단계부터 무리하게 비용을 투입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는 것이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통신 사업자와의 수수료 문제가 얽혀 있다. 앱형 카드사들이 유심형 모바일카드 사업에 진출하려면 통신사에 별도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수수료까지 내가며 유심형 모바일 시장에 진출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진짜 이유다.
대신 앱형 카드사들은 자체적인 가맹점 확대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앱형 가맹점 숫자는 1만 2000곳인데 연말까지 10만곳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앱형 카드사 관계자는 “앱형은 온라인 결제가 간편하기 때문에 모바일 시장에서도 충분히 승산 있다”고 자신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4-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