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월 20일부터 이틀간 하나·외환카드 이용 고객 2만 7300여명의 카드 결제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피해액만 약 13억원이었습니다. 8월에도 크고 작은 결제 오류가 이어졌습니다. 고객들도 단단히 뿔이 났던 모양입니다. “더이상 하나카드를 믿고 쓸 수 없다”며 카드를 자르고 등을 돌린 고객이 적지 않습니다.
실제 하나카드의 8월 한 달 취급액(체크카드 제외)은 3조 7403억원이었습니다. 전달(4조 495억원)에 비해 7.63%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카드업계 전체 취급액이 18.66%나 증가한 것과 대조를 이루죠.
대규모 전산 오류의 배경엔 하나와 외환의 알력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기존에 하나카드는 ‘유닉스’를, 외환카드는 ‘메인 프레임’을 각각 전산 체계로 사용했죠. 전산을 통합하려면 둘 중 하나의 시스템을 선택해 고객 정보를 옮겨 담아야 합니다. 그런데 하나카드도 외환카드도 어느 한쪽의 전산이 주전산으로 채택되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주도권을 뺏길 수 없다는 생각이었죠. 주도권을 잃은 쪽은 관련 정보기술(IT) 전문가들이 설 자리가 없어서입니다.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이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자는 것이었습니다.
전산 통합까지 시간도 촉박했습니다. 9월 통합 하나은행 출범 전까지 카드부문의 전산 통합을 마무리해야 했죠. 통상 새로운 전산 시스템은 도입하기에 앞서 공휴일이나 연휴 등 ‘빨간날’을 활용해 4일 동안 시범 운용합니다.
그런데 하나카드는 주어진 시간이 짧다 보니 이틀밖에 시범 운전을 하지 못했죠. 쫓기듯 이뤄진 전산 통합의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금융권에선 하나·외환카드 전산 오류 사태가 ‘전초전’이라고 말합니다. 내년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전산 통합을 앞두고 있어서입니다. ‘집안싸움’ 탓에 고객 신뢰를 잃어버린다면 진정한 리딩 금융그룹이 될 수 있을까요. 하나금융이 카드 전산 오류 사태를 타산지석 삼아 고객들이 불안감 없이 통합 하나은행과 거래할 수 있도록 전산 통합을 치밀하게 준비해 주길 바랍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10-0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