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투자액 삼성·현대차 등 ‘빅4’에 74% 쏠렸다

국민연금 투자액 삼성·현대차 등 ‘빅4’에 74% 쏠렸다

입력 2015-10-14 07:48
수정 2015-10-14 07: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기업 지분변동의 키를 쥔 ‘큰손’ 국민연금공단의 투자액이 30대 그룹 가운데 삼성·현대차 등 상위 4개 그룹에 70% 넘게 쏠린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연금공단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30대 그룹 상장사 지분가치는 52조원에 달했다. 이중 삼성·현대차·SK·LG그룹 상장 계열사에 투자된 자금이 39조원으로 74%를 차지했다.

재계 14위 CJ그룹은 국민연금 투자액 순위에서는 5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 지분가치가 14조원으로 가장 컸고 현대차, SK하이닉스, SK텔레콤, 삼성물산 순이었다.

국민연금 보유 지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LG하우시스로 14.43%였다. 그외에 10%를 넘는 기업은 현대그린푸드, 나스미디어, CJ제일제당 등 27개사로 집계됐다.

1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지난 9월말 기준 30대 그룹 상장사 175곳의 국민연금 투자 내역을 조사한 결과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기업은 54.9%인 96곳이고 지분 가치는 52조3천401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재계 1~4위 삼성·현대차·SK·LG그룹의 국민연금 지분가치는 38조7천215억원으로 30대 그룹 전체 투자액의 74.0%를 점했다.

국민연금이 전체 주식시장에 투자한 총액(95조8천177억원, 6월말 기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0.4%에 달했다. 여기서 국민연금 투자액은 주식 매입가 기준이어서 시가로 환산한 지분가치와는 차이가 있다.

그룹별로는 삼성그룹 10개 계열사의 지분가치가 18조7천914억원으로 압도적이다. 전체 지분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5.9%에 달한다.

이어 현대차그룹 7조9천97억원(15.1%), SK그룹 7조742억원(13.5%), LG그룹 4조9천463억원(9.5%) 순이다.

5위는 CJ그룹으로 2조5천187억원(4.8%)을 기록했다. 롯데, 포스코, GS, 현대중공업 등 10대 그룹을 모두 앞섰다.

롯데그룹은 1조6천73억원(3.1%)으로 6위, 포스코그룹은 1조2천965억원(2.5%)으로 7위를 기록했다.

신세계(9천961억원, 1.9%), 현대백화점(9천379억원, 1.8%), 한화(8천315억원, 1.6%)는 지분가치가 1조원에 미치지 않았지만 국민연금 투자 지분가치 톱10에 들었다.

영풍(8천49억원, 1.5%), KT(6천742억원, 1.3%), GS(6천252억원, 1.2%), KCC(5천533억원, 1.1%) 등은 지분가치가 5천억원을 넘었다.

현대중공업(3천688억원, 0.7%), 동부(3천531억원, 0.7%), 효성(3천261억원, 0.6%), 두산(3천125억원, 0.6%) 등은 비교적 낮은 3천억원대였다.

이밖에 LS(2천770억원, 0.5%), 대림(2천612억원, 0.5%), 금호아시아나(2천361억원, 0.5%), 한진(2천124억원, 0.4%), OCI(2천67억원, 0.4%), 현대(1천487억원, 0.3%), 미래에셋(702억원, 0.1%) 순이었다.

기업별 지분가치는 삼성전자가 13조6천807억원(26.1%)으로 가장 컸다.

현대차는 2조5천360억원(4.8%)으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SK하이닉스 2조3천567억원(4.5%), SK텔레콤 1조7천255억원(3.3%), 삼성물산 1조6천575억원(3.2%) 순으로 톱5를 형성했다.

국민연금 지분율이 10%를 넘긴 곳도 27곳에 달했다. LG하우시스가 14.43%로 가장 높았고 이어 현대그린푸드(13.55%), 나스미디어·CJ제일제당(13.50%), 롯데푸드(13.47%), 한섬(13.31%), 현대글로비스(13.08%) 등 7곳은 13%를 웃돌았다.

LS산전(12.91%), 신세계(12.85%), LG이노텍(12.78%), 한진칼·호텔신라(12.70%), 롯데칠성음료(12.63%), KCC(12.52%), LG상사(12.34%), SKC(12.31%), 한화테크윈(12.29%) 등 10곳도 12% 이상이었다.

CJ오쇼핑(11.86%), CJ CGV(11.82%), 현대위아(11.46%), 대림산업(11.18%), 유니드(11.16%), 롯데하이마트(10.54%), 한화(10.49%), 제일기획(10.25%), LG생명과학(10.18%), SK케미칼(10.02%) 등 10개사도 지분율 10%를 넘었다.

반면 대우조선해양, 대우건설, S-OIL, 동국제강 등 최근 업황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은 지분가치가 5% 미만으로 미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