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새 2.4% 증가…4개월 연속 오르막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 생산이 8월보다 2.4% 늘면서 4개월 연속 오르막을 탔다. 광공업(1.9%)과 서비스업(1.2%), 건설업(4.9%) 모두 생산이 늘었다. 광공업 호조는 반도체(17.2%)와 자동차(5.0%)가 이끌었다. 반도체는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자동차는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를 톡톡히 봤다. 소매 판매도 추석 특수로 음식료품 등의 판매가 늘면서 전월 대비 0.5% 증가했다.
기업 체감 경기도 살아났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제조업의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1로 지난달보다 3포인트 오르며 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그러나 한국 경제를 이끌어 온 수출이 악화되고 있다. 지난달 수출액은 435억 1000만 달러로 1년 새 8.3% 급감했다. 한은이 내놓은 이달 수출 BSI도 80으로 전달보다 1포인트 내려갔다.
기획재정부는 내수 중심의 경기 회복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개소세 인하는 내년 소비를 당겨 쓰는 문제가 있고 다음달 산업 생산은 기저효과로 다시 꺾일 수 있다”면서 “정부가 대외 위험 요소를 관리하고 수출 경쟁력을 키우면서 추가적인 소비·투자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10-3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