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0가구 중 9가구꼴로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해 월평균 31만원 가량의 보험료를 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 국민이 가입한 건강보험제도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보장성이 낮다 보니 많은 가구가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해 가계의 실질적 의료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2015년 9월 10일~10월 8일 전국 16개 시도에서 만 20~69세 건강보험 가입자와 피부양자 2000명을 대상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조사결과, 가족 중 한 명이라도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해 있는 가구는 88.1%(1762명)였다. 가입하지 않은 비율은 11.9%(238명)였다.
또 월평균 내는 민간의료보험료를 조사해보니 약 30만 8000원으로 집계됐다. 응답자가 내는 월평균 민간의료보험료를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20만원 이상~50만원 미만48.4%,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22.2%, 50만원 이상 19.6%,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 6.7%, 5만원 미만 3.1%였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인 60대 이상, 단순노무직,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집단에서 민간의료보험 가입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민간의료보험 가입에서도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허약하다고 느끼거나 가구 내 장애인이 있는 집단도 민간의료보험 가입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민간의료보험사가 위험이 적은 환자를 선택하고 위험이 크거나 예측이 힘든 환자는 회피하는 ‘위험 전가 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민간의료보험 가입비율이 높은 현실을 반영하듯, 조사대상자들은 장래 아플 때를 대비한 준비대책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을 가장 많이 꼽았다.
미래 건강을 유지하고 아플 때를 대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조사(중복 응답)한 결과,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고 있다’는 대답이 6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다’(45.6%),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있다’(45.3%), ‘아플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저축하고 있다’(17.1%) 등이었다. ‘아무런 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란 응답도 6.4%로 나왔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2015년 9월 10일~10월 8일 전국 16개 시도에서 만 20~69세 건강보험 가입자와 피부양자 2000명을 대상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조사결과, 가족 중 한 명이라도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해 있는 가구는 88.1%(1762명)였다. 가입하지 않은 비율은 11.9%(238명)였다.
또 월평균 내는 민간의료보험료를 조사해보니 약 30만 8000원으로 집계됐다. 응답자가 내는 월평균 민간의료보험료를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20만원 이상~50만원 미만48.4%,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22.2%, 50만원 이상 19.6%,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 6.7%, 5만원 미만 3.1%였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인 60대 이상, 단순노무직,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집단에서 민간의료보험 가입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민간의료보험 가입에서도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허약하다고 느끼거나 가구 내 장애인이 있는 집단도 민간의료보험 가입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민간의료보험사가 위험이 적은 환자를 선택하고 위험이 크거나 예측이 힘든 환자는 회피하는 ‘위험 전가 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민간의료보험 가입비율이 높은 현실을 반영하듯, 조사대상자들은 장래 아플 때를 대비한 준비대책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을 가장 많이 꼽았다.
미래 건강을 유지하고 아플 때를 대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조사(중복 응답)한 결과,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고 있다’는 대답이 6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다’(45.6%),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있다’(45.3%), ‘아플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저축하고 있다’(17.1%) 등이었다. ‘아무런 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란 응답도 6.4%로 나왔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