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새 정규직 61% 줄여 “2021년부터 흑자 전환…신규수주가 관건”
경영난으로 기업회생 절차가 진행중인 STX조선해양이 또다시 혹독한 구조조정에 들어갔다.사측은 여름휴가가 끝난 지난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인력 감축, 자산 매각에 착수했다.
금융권으로부터 한푼도 지원을 기대할 수 없는 만큼 감원·임금삭감으로 고정비를 줄이고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은 모두 매각해 운영자금에 보태야 하기 때문이다.
조사위원인 한영회계법인은 지난달 서울중앙지법에 제출한 중간보고서에서 STX조선의 ‘계속기업 가치’는 1조2천635억여원, ‘청산 가치’는 9천473억여원으로 판단했다.
STX조선이 문을 닫는 것보다 회사를 가동해서 얻는 이익이 3천161억여원 높다는 뜻이다.
그러나 전제가 있다.
한영회계법인은 STX조선이 지금보다 인건비를 50% 줄이는 등 고정비를 대폭 내리고 생산설비를 뺀 비핵심자산을 다 팔아치워야 이같은 수치가 나온다고 결론을 내렸다.
STX조선은 지난달 29일부터 연봉직(관리·사무직) 직원, 일반직 직원(현장직) 사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기 시작했다.
연봉직 400명, 일반직 345명 등 745명이 목표다.
목표를 채우면 현재 2천100여명가량인 STX조선해양 정규직원수는 1천300명 이하로 줄어든다.
STX조선은 2013년 자율협약 때도 직원 1천400여명을 내보냈고 상여금 유보, 기본급을 동결한 전례가 있다.
이 회사 정규직은 2013년 정규직이 3천524명에 달했지만 자율협약 때 2천100여명으로 줄었고 이번에 다시 1천370여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이번 희망퇴직까지 회사 방침대로 진행되면 불과 3년만에 전체 직원의 61%인 2천140여명이 감원되는 셈이다.
여기에다 사측은 지난 7월부터는 직원 임금을 20%씩 삭감했다.
상여금·여름 휴가비, 명절 상여금은 물론 돈이 들어가는 각종 복지를 중단하는 방법으로 임금을 줄인다.
본격적인 감원이 시작되자 노사 긴장관계는 높아졌다.
STX노조는 최근 기자회견을 열어 “회사가 기본급 동결에다 잔업·특근까지 통제하면서 30대 현장직원은 세금 공제후 130만원 정도 임금을 받고 가족을 책임져야 한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면서 “일방적 인적 구조조정은 심각한 마찰만을 초래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감원 불똥은 이 회사 사내협력업체에도 튀었다.
올 상반기 3천500여명에 달했던 사내협력업체 직원수는 이미 3천명 밑으로 줄었고 앞으로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천옥재 STX조선해양 협력사 협의회 회장은 “일감이 줄다보니 직원들이 줄줄이 이탈한다”며 “이직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자산 매각도 동시에 진행중이다.
STX조선은 2009년에 인수한 크루즈선 건조업체로 그동안 두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STX프랑스 3차 매각을 시작했다.
사측은 또 진해구 남양동에 있는 사원아파트(1·2차), 진해조선소 인근 공장 부지, R&D센터(창원시 신월동) 등 회사 소유 부동산도 매각 리스트에 올렸다.
그외 소유한 자투리 땅들도 모두 매각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진해 조선소만 남기고 모든 자산을 다 팔아치워 운영자금에 보태야 한다”고 말했다.
사측은 건조해도 이익이 나지 않는 선박계약도 취소해 기업회생 신청때 55척이던 수주잔량도 39척으로 줄였다.
그러나 한영회계법인은 STX조선이 혹독한 구조조정으로 기업회생 인가를 받는다 해도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 연속으로 영업이익 적자를 보다 2021년에야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추정했다.
STX조선해양의 연간 선박건조능력은 35~40척 정도다.
한영회계법인은 STX조선 연간수주 예상 척수를 건조능력보다 상당히 낮게 잡았다.
최근 대우조선해양 등의 회계부실이 심각한 문제가 되자 회계법인 측에서 상당히 엄격한 잣대로 회생 가능성을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STX조선 관계자는 “회계법인 측이 선박 수주 가능성을 낮춘 상태에서 향후 추정손익계산서를 작성한 것으로 안다”며 “결국 신규수주 여부가 회사가 살아나는데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