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걸린 국내 경제
신흥국 침체… 수출 회복 찬물주거비 부담 늘어 부동산 타격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가뜩이나 침체된 우리 경제에 또 하나의 악재가 더해졌다. 특히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말대로 내년 세 차례에 걸쳐 금리가 인상될 경우 가계부채와 소비, 수출, 금융시장 등에 미치는 후폭풍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수출을 포함한 실물경제에서는 악재에 가깝다. 달러화 강세에 따른 수출 제품의 가격경쟁력 상승보다 신흥국의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 부진이 더 크다는 분석이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은 통상 ‘원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로 이어지면서 수출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가는 호재로 나타난다. 실제 15일 원·달러 환율은 8.8원 오른 1178.5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역대 미국의 금리 인상기에 우리 경제는 수출로 활로를 찾곤 했다.
그러나 잇단 금리 인상으로 환율의 변동성이 커진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 비중은 57.5%에 이른다. 국제금융시장 불안과 자본 유출로 신흥국 경기가 침체된다면 우리 수출 물량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지난달 기저 효과와 늘어난 조업일수에 힘입어 겨우 반등했던 우리 수출이 다시 꺾이거나 회복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얘기다.
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과장은 “환율 효과보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기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신흥국의 자금 이탈과 수요 감소로 우리 수출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산업부는 매주 수출점검회의를 열고 업종별 영향 분석과 수출에 미칠 파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도 금리를 인상할 정도로 미국 경제가 회복되면 장기적으로 대미 수출에 호재가 될 수 있지만 각국의 실물 투자와 소비를 위축시키고 유가 하락을 가져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경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달러화 강세로 원자재 가격 하락과 자본 유출로 중국, 중남미 등의 경제가 타격을 입으면 신흥국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는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금융 시장에서는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미국의 1년 국채금리가 0.25% 포인트 오르면 한국의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3개월 후 3조원가량 유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이후 3개월 동안 외국인 자금 6조 3340억원이 빠져나갔다.
채권 시장도 마찬가지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외국인 보유의 채권잔액은 지난 13일 현재 89조원으로 지난해 6월(106조원) 이후 18개월 동안 17조원이 빠져나갔다. 이들의 채권잔액이 90조원을 밑돈 것은 2013년 초 이후 처음이다. 또 금리 인상은 그동안 빚으로 떠받치는 부동산 경기에 직격탄을 줄 수 있다. 주택수요 감소뿐 아니라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12-1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