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금융 규모 1년 새 10배↑… 年 1000만원 한도 규제엔 반발
“전 세계 핀테크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55%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올해 이뤄낸 분야별 성과가 내년에는 또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주목됩니다.”
카카오증권은 하루 이용자 수가 20만명에 이를 정도로 인기입니다. 기존 증권사들도 앞다퉈 모바일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7월 영상통화로 실명 확인을 하고 즉시 계좌를 개설하는 ‘나무’를 출시했습니다.
하나금융투자는 실시간 시장 정보를 주고받는 ‘캔들맨’을 서비스했죠. 신한금융투자도 ‘신한 i모바일’을 내놔 경쟁하고 있습니다.
올해 P2P(개인 대 개인) 금융도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P2P는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과 이들에게 돈을 빌려 주려는 투자자를 온라인으로 연결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P2P 금융시장은 지난해 말 350억원 수준에서 지난달 3900억원으로 규모가 10배 이상 커졌습니다. 또 각종 ‘페이’ 열풍으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대세로 떠올랐습니다. 올 3분기 모바일 전자결제나 교통카드 등 전자지급서비스의 하루 이용 금액은 3631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시장이 급속하게 팽창하면서 겪는 성장통도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일반인은 P2P 금융에 업체당 연간 1000만원 이상 투자할 수 없다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금융당국의 첫 규제에 P2P 업계는 “과도하다”며 반발했지요. 업계는 1000만원 이상 투자자가 전체 고객의 60%에 이른다고 주장하고 있어 시장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6-12-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