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부동산업은 생존율 높아
창업 기업 3년 생존율 OECD 26개국 중 ‘25위’
20일 통계청의 ‘2015년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2009년 창업한 숙박·음식점과 도·소매점 가운데 2014년까지 5년 동안 살아남은 비율은 각각 17.3%, 24.3%인 것으로 조사됐다. 비교적 소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어 청년 및 퇴직자들이 주로 도전하고 있는 두 업종의 5년 생존율이 전체 업종 평균(27.3%)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창업 기업의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이었다. 상대적으로 공공부문에 가까운 이 업종의 1년 생존율은 93.5%로 전체 업종 평균(62.4%)보다 월등히 높았다. 3년 생존율은 73.0%, 5년 생존율은 74.1%로 조사 대상 17개 업종 가운데 가장 높았다.
또 차량을 갖고 시작하는 운수업과 건물 및 토지를 바탕으로 운영하는 부동산·임대업의 생존율도 높았다. 운수업의 3년 생존율은 51.0%, 5년 생존율은 40.3%로 17개 업종 가운데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부동산·임대업의 5년 생존율은 39.6%로 세 번째였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은 문을 연 지 2년 만에 10곳 중 6곳이 사라졌다. 하나의 업종으로 묶여 있지만 2015년 기준으로 전국의 숙박업소는 4만 5000여곳인 반면 음식점은 74만 5000여개로, 음식점업의 소멸률이 숙박·음식점 업종의 생존율을 좌우하고 있는 셈이다.
숙박·음식점업의 1년 생존율은 59.2%, 2년 40.2%, 3년 30.3%, 4년 22.5%, 5년 17.3%로 나타났다. 5년만 살아남아도 ‘장수식당’의 반열에 오를 수 있는 것이다. 또 음식점과 함께 주요 서민 창업 업종인 도·소매업 역시 1년 생존율이 58.2%에서 2년 43.5%, 3년 35.0%, 4년 28.4%, 5년 24.3%로 해가 갈수록 급격히 생존율이 떨어졌다.
다만 2012년 38.0%였던 전체 17개 업종의 3년 생존율은 이듬해 38.2%, 2014년 38.8%로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이런 생존율은 스웨덴(75%), 영국(59%), 미국(58%), 프랑스(54%), 독일(52%) 등과 비교해 크게 뒤졌고, 조사 대상 26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거의 꼴찌인 25위였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02-2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