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창업 당시 농심은 스타트업이었습니다. 임직원 모두 젊은 피가 되어 스타트업처럼 활발하게 성장해 나갑시다.”
농심그룹 2세인 신동원(63·사진) 대표이사 부회장이 1일 그룹 회장에 취임했다. 신 회장은 최근 타계한 농심 창업주 신춘호 회장의 장남으로 1979년 농심에 입사해 2000년부터 농심 부회장으로 회사를 이끌어 왔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농심은 이날 임직원에게 전한 취임사에서 국내외 사업 확장을 선언했다. 국내에선 건강기능식품·대체육 등 신사업을 펼치고 해외에선 글로벌 1위 라면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신 회장은 “미래는 곧 성장이며 성장 없이는 미래가 없다. 라면 가치를 레벨업 하는 게 지상 과제다.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글로벌 라면기업 5위라는 성적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 생산과 마케팅 시스템을 세계 톱클래스로 재정비해야 한다”고도 했다. 연말 미국 제2 라면 공장을 완공하면 미국 1공장까지 합해 연간 약 8억 5000만개를 현지에서 만들 수 있다.
그는 취임을 맞아 1980년대부터 30여년간 써 오던 ‘믿을 수 있는 식품 농심’이란 슬로건을 ‘인생을 맛있게, 농심’으로 바꿨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 차원에서 전담조직도 출범시켰다.
신 회장은 ‘은둔형 리더’로 불리던 부친과 달리 ‘소통 경영’에 적극적이다. 매년 전국 6개 생산공장과 70여개 영업지점을 방문한다. 월 1회 열리는 제품 개발 회의에도 참석하고 직원의 아이디어에 담당 부서가 답변하는 ‘정보제안 시스템’도 도입했다. 신 회장은 “보다 수평적인 기업문화 조성과 디지털 기반의 업무 혁신도 고객가치 극대화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