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에 에어컨 리모컨만 만지작...에어컨 전기요금 아끼는 팁 5가지

무더위에 에어컨 리모컨만 만지작...에어컨 전기요금 아끼는 팁 5가지

정연호 기자
정연호 기자
입력 2025-07-08 10:31
수정 2025-07-08 1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AI 생성이미지
AI 생성이미지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전국 곳곳에서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7월 첫째 주만 해도 낮 기온이 33도를 웃돌며 전국 곳곳에서 폭염 특보가 발효됐다.

이 같은 날씨에 에어컨은 선택이 아닌 ‘생존 도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매달 돌아오는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걱정이 앞선다. 실제로 SNS에는 “냉방비가 무서워 에어컨도 눈치 보며 켠다”는 자조 섞인 글들도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조건 참는 것보다는 똑똑하게 사용하는 습관이 중요하다”며, 효율적인 냉방 습관만으로도 전기요금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고 말한다.

다음은 에너지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이 추천하는 여름철 냉방비 절약 실천법이다.

이미지 확대
AI 생성이미지
AI 생성이미지


1. 에어컨은 ‘처음엔 강하게, 이후엔 적당히’실내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에어컨을 약하게 틀면 냉방 효율이 떨어진다. 처음에는 강풍으로 18~20도로 빠르게 실내 온도를 낮추고, 이후에는 약풍으로 26도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전력공사 관계자는 “온도보다 중요한 건 지속적인 운전”이라며 “수시로 껐다 켰다 반복하면 오히려 전력 소모가 많다”고 설명했다.

2. 선풍기·서큘레이터와 함께 사용에어컨 바람이 직접 몸에 닿지 않아도 시원하게 느껴지려면 공기 순환이 필수다. 에어컨에서 나온 찬 공기를 실내 곳곳에 빠르게 퍼트릴 수 있도록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함께 사용하면 체감 온도는 2~3도 낮아진다. 에어컨 설정 온도도 그만큼 높일 수 있어 전기요금 절감 효과가 있다.

3. 필터 청소는 여름철 ‘기본’냉방기기의 핵심은 ‘공기 흐름’이다. 그런데 필터에 먼지가 많이 쌓이면 찬 바람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냉방 성능이 떨어지고, 전력 소모는 오히려 늘어난다. 가정용 에어컨은 2주에서 한 달 간격으로 필터를 꺼내 세척해주는 것이 좋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에어컨 필터 청소만으로도 최대 5~10%의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경제-에너지-전기-폭염 특보-서울시내 건물 에어컨 실외기 작동
경제-에너지-전기-폭염 특보-서울시내 건물 에어컨 실외기 작동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이어지는 2일 서울 시내의 한 건물에 에어컨 실외기가 작동되고 있다.. 2023.8.2 홍윤기 기자


4.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한 ‘외기 차단’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외부의 뜨거운 공기가 들어오면 냉방 효율은 급격히 낮아진다.

방문이나 창문은 꼭 닫고, 햇빛이 강한 낮 시간대엔 암막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직사광선 차단하는 것이 냉방 유지에 도움이 된다.특히 남향 창문이 많은 주택의 경우 이 한 가지 조치만으로도 실내 온도가 최대 3도까지 낮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5. 타이머·절전 모드 적극 활용요즘 에어컨에는 타이머 기능이나 절전 모드가 기본으로 탑재돼 있다. 특히 취침 중에는 절전 모드를 설정해두면 잠자는 동안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LG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 가전업체들도 “절전 모드를 활용하면 전력 소모량이 일반 운전 대비 15~30% 가량 줄어든다”고 설명한다.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여름철 냉방비 절감의 핵심은 “사용 습관”이라고 강조한다.

이성배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정책, 주택 가격 안정 가져올 것”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탈리아 출장 중 기자간담회에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에 대해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이성배 대표의원이 적극 공감을 표명했다. 오 시장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주택 가격은 정확히 돈의 공급에 비례한다”라며 정부가 추경으로 시장에 막대한 돈을 풀면서 부동산 가격을 잡으려는 것에 대해 비판적 의견을 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서울 집값 폭등에 불이 붙었다고 주장하면서 “오 시장이 불붙인 서울 부동산 거래 시장은 국민주권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조정 국면에 들어간 상황”이라며 반격에 나섰다. 이 대표는 민주당의 해당 발언에 대해 “도둑이 집주인 나무라는 격”이라며 “좌파 정부가 들어서면 집값이 오른다는 것이 상식이 됐다. 민주당이 집권하면 과격한 규제를 통한 수요 억제 정책으로 부동산 가격이 치솟는다는 것을 대한민국 국민이 집단 경험으로 학습했고, 이재명 정부 탄생 자체가 부동산 시장에 시그널이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 대표는 “공급 확대 정책이 주택 가격 안정을 위한 해결책이라는 오 시장의 의견에 적극 찬성한다”라며 “서울시가 기존의 신속통합기획에 더욱 박차를
thumbnail - 이성배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정책, 주택 가격 안정 가져올 것”

폭염은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에어컨을 쓰지 않을 수 없다면, 조금 더 똑똑하게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