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 내 車 안전 지키려면

연일 폭염… 내 車 안전 지키려면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6-08-02 17:48
수정 2016-08-02 17: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동장치의 성능, 브레이크 라인·오일 점검
냉각수는 2년·4만㎞ 주행 때마다 바꿔 줘야
와이퍼도 고무 변형·기능 저하땐 새것으로

연일 폭염 특보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무더위 속에서 여름 휴가를 위해 장거리 운전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차량 점검은 필수다. 폭염이 계속되면 자동차도 내외부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여름 휴가철 폭염으로부터 내 차를 안전하게 지키는 준비가 필요하다.

우선 시야 확보와 직결된 와이퍼를 점검해야 한다. 와이퍼에 부착된 고무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고 폭우나 고열로 인해 갈라지거나 뒤틀릴 수 있다.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고무가 변형될 경우 제대로 닦이지 않고, 성능이 떨어진 와이퍼는 유리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에어컨 필터도 관리해야 한다. 습한 여름철에 차량 에어컨을 자주 사용하다 보면 에어컨 필터에 곰팡이 및 세균이 증식해 악취가 날 수 있고 이는 호흡기 건강에도 해롭다. 외부 공기 순환 모드로 에어컨 내부를 틈틈이 건조시키고 목적지 도착 수분 전부터 에어컨을 끄고 차량 내 수분을 증발시켜 세균 증식의 원인을 차단해야 한다. 필터는 1년 혹은 1만 5000㎞ 주행 시마다 교체하는 게 좋다.

냉각수가 부족하면 차량 고장이나 화재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냉각수는 오래 사용하면 라디에이터를 부식시킬 수 있다. 오염도를 점검해 제때 바꿔 줘야 한다. 일반 부동액 기준 약 2년 또는 주행거리 기준 4만㎞가 교체 주기다.

겨울철 못지않게 태양열로 달궈진 아스팔트와 물이 고인 노면을 달리는 여름철 타이어도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 마모가 진행돼 트레드(땅에 닿는 접지면)가 남아 있지 않거나 공기압이 과하거나 부족한 경우 사고 위험성이 커진다. 이를 막기 위해 공기압을 체크하고 마모 상태도 점검해야 한다.

브레이크 점검도 필수다. 시간당 100㎞로 달리다가 속도를 줄일 때가 있는데 여름철 높은 온도로 인해 브레이크 라인 내 기포가 생성되면 유압이 전달되지 않아 원활한 제동이 어렵다. 브레이크 오일은 물론 브레이크가 잘 잡히는지도 점검해야 한다.

장거리 여행에서 차량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컨디션도 챙겨야 한다. 휴가철 안전운전을 위협하는 첫 번째 요인이 바로 졸음운전이다. 시속 100㎞로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3초만 졸아도 약 80m 이상을 눈을 감고 운전하게 되는 셈이어서 위험하다.

장거리 운전을 한다면 숙면을 통해 좋은 컨디션이 갖추는 게 가장 중요하다. 차 내부 온도는 23도 정도로 유지하며, 자동차 실내 공기를 적절히 환기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오랜 시간 운전을 해야 한다면 1시간 운전에 10~15분 정도 쉬어 가야 한다. 갖은 노력에도 졸음을 피하기 어렵다면 졸음 쉼터를 찾아 잠시 눈을 붙이는 게 좋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6-08-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