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기업 위기 가중 우려
김병환 “자금 지원 적극 역할” 당부
하나 이어 KB·신한·우리 신규 대출
미국의 관세폭탄을 마주하게 된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가 금융권에 적극적인 지원 역할을 요구하고 나서자 주요 금융지주들은 조 단위 지원으로 급한불 끄기에 나섰다.KB금융은 7일 KB국민은행을 통해 8조원 규모의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은행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 3조원, 국가 주력전략산업 영위 기업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 5조원 등으로 중소기업 금리 부담을 완화한다. 자동차 관련 업체에는 신용보증기금과 업무 협약을 통해 15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을 내준다.
신한금융도 같은 날 10조 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기업 금리우대 프로그램으로 6조 4000억원을 지원하고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쿠폰을 지급한다. 또 신용보증재단과 신용보증기금에 각각 5000억원, 6000억원을 특별출연해 신규대출을 지원한다.
우리금융은 이날 임종룡 회장 주재로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우리금융 역시 별도의 금융 지원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하나금융도 앞서 6조 3000억원 규모의 지원책을 밝힌 바 있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지주 회장을 불러모아 “금융지주회사와 정책금융기관들이 중심이 돼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에 대한 자금 지원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을 우려하며 “금융당국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약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의 준비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이 같은 당부는 금융권이 관세폭탄으로 타격을 받은 수출입기업의 부실을 우려해 대출을 조이는 대신 늘리라는 취지로 나온 것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대출을 포함한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4일 기준 662조 3163억원으로 지난달 말보다 8759억원 감소했다. 이달 들어 나흘 만에 벌써 3월 전체 감소폭(8682억원)보다 더 많이 줄어든 것이다. 반면 대기업대출(162조 2408억원)은 나흘 동안 2236억원 늘었다. 전체 기업대출 잔액은 824조 5572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6521억원 줄었다.
2025-04-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