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보다 79.4% 증가한 138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이미지 확대
인천시 연수구 셀트리온 본사.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인천시 연수구 셀트리온 본사. 연합뉴스
같은 기간 매출은 2461억원으로 33.0%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152억원으로 93.4% 증가했다.
2002년 셀트리온 창사 이래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다.
이는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램시마’와 또 다른 바이오시밀러인 ‘트룩시마’의 판매 호조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램시마는 다국적제약사 얀센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다. 국내는 물론 유럽의약품청(EM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도 허가받아 유럽과 미국 등에서 판매 중이다.
램시마는 유럽에서 1분기 기준 오리지널 의약품 시장의 42%를 점유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의 미국 시장 공략도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에서 ‘인플렉트라’라는 제품명으로 지난해 말부터 판매중이다.
올해 2월 EMA의 허가를 획득한 또 다른 바이오시밀러인 ‘트룩시마’ 역시 영국,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아일랜드 등에서 판매가 개시돼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트룩시마는 다국적제약사 로슈의 ‘리툭산’ 바이오시밀러다. 혈액암의 일종인 비호지킨스 림프종과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 등에 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에 트룩시마의 매출까지 추가되면서 매출액 대비 고정비율이 감소해 규모의 경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상반기 실적을 미뤄보아 올해 사업계획 목표(매출 8천600억원)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