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승부… 국민연금·소액주주에 촉각
조현아 측, 표심 잡을 전문 경영인 물색조회장 측은 ESG 분야 투자·개선 밝혀
배당 확대 등 통큰 주주환원책도 예상

연합뉴스
조원태 회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조현아 전 부사장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조 전 부사장, KCGI, 반도건설 등 ‘누나 연합군’은 앞서 주장한 전문 경영인 도입에 이어서 오는 14일 새로운 주주 제안을 할 계획이다. 지난 6~7일 대한항공, 한진칼 이사회에서 송현동 부지 매각 등의 방안을 내놓은 조 회장 측도 2월 중순 이후 한 차례씩 더 열릴 이사회에서 공개할 추가 카드를 검토 중이다.
●조회장 측 곧 이사회 열어 추가 카드 공개할 듯
경영권 분쟁이 1% 포인트 안팎의 박빙으로 진행되면서 5% 미만의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과 기관 투자가, 일반 소액주주들의 표심을 확보하는 게 중요해졌다. 전문 경영인을 앞세운 조 전 부사장 측이 이들의 표심을 휘어잡을 매력적인 전문 경영인의 명단을 공개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업은 특수성이 강한 업종이라 전문가 풀이 그리 넓지 않다”면서 “KCGI 측이 현 경영진들을 제외한 다른 전문 경영인을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조 회장의 고심도 깊다. 다음달 25일로 예상되는 주주총회를 앞두고 한 차례씩 남은 2월 대한항공, 한진칼 이사회에서 조 전 부사장 측의 제안을 넘어서는 방안으로 표심을 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배당 확대 등 ‘통 큰’ 주주환원책이 거론된다. 나아가 고용 창출 등 사회적 가치를 앞세운 방안이 나올 수 있을 거란 관측도 제기된다. 정부 측 지분인 국민연금의 표심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앞서 한진칼 이사회에서도 조 회장 측은 “‘ESG’(환경, 사회적책임, 지배구조) 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투자 및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대한항공의 부채비율은 922%에 이른다. 그럼에도 지속적인 오너리스크와 지난해 ‘일본산 불매운동’ 등 외부 악재로 회사는 실적을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 앞서 공개된 양측의 쇄신안이 ‘부채 개선’에 방점을 찍은 이유다. 그러나 경영권 분쟁이 초접전으로 전개되면서 양측은 표심을 확보해야 할 대책까지 내놓아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2-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