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서 오찬하며 국제정세 의견 교환정 이사장 “한국 안보에 관심 가져달라” 요청키신저 “한미 굳건한 공조로 북핵 문제 풀어야”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이 지난 5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과 오찬을 하며 최근의 국제 정세와 한반도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이 지난 5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과 만나 오찬을 함께 하며 한반도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아산정책연구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이 지난 5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과 만나 오찬을 함께 하며 한반도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아산정책연구원 제공
6일 아산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이날 키신저 전 장관은 현재의 세계 질서에 대해 “거의 모든 국가들이 스스로를 ‘떠오르는(rising) 국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각국의 의견 충돌이 대립 위기로 확대된다”고 진단했다. 올해 더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중간 패권 경쟁을 감안했을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분석이다.
키신저 전 장관은 또 “한국과 미국이 굳건한 공조를 통해 북핵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나가야 한다”며 “북한의 비핵화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필요하고 중국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 명예이사장은 키신저 전 장관에게 “한국의 안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조언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또 키신저 전 장관은 인공지능(AI)의 미래에 대한 우려도 전했다는 후문이다. 그는 “AI를 관리할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역사나 철학에 의존하지 않고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AI가 인간의 지성이 쌓아온 문명의 역사를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리처드 닉슨 행정부에서 대통령 안보 보좌관,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바 있다. 연구원은 “키신저 전 장관은 현실주의를 추구하는 국제정치학자로 99세의 노령에도 국제 정세에 대한 통찰력으로 강연과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정서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