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부처님오신날

[이경우의 언파만파] 부처님오신날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5-23 20:18
수정 2021-05-24 0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세상에 태어난 날 ‘생신’(生辰)은 ‘생일’(生日)의 높임말이다. 이 낱말들의 ‘신’(辰)도, ‘일’(日)도 고유어 ‘날’과 통한다. ‘일’이 ‘날’과 의미가 통한다는 건 ‘공휴일’, ‘기념일’, ‘매일’, ‘월요일’처럼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에서도 쉽게 확인된다. 그렇지만 ‘신’에 ‘날’의 의미가 있다는 건 ‘생신’과 ‘생일’을 비교할 때 겨우 확인된다. 그것도 누군가 말을 꺼내야 ‘아, 그렇지’ 하고 다시 깨닫게 될 때가 많다. 그만큼 ‘생신’의 ‘신’은 ‘날’과 꽤 멀리 있다고 보인다.

“임금이나 성인이 태어난 날”을 가리키는 ‘탄신’으로 가면 ‘신’은 ‘날’과 더 멀어진 듯하다. ‘탄신’은 흔하지만 ‘탄일’은 드문 것도 이유일 수 있다. ‘세종대왕 탄신일’, ‘이순신 장군 탄신일’이라고 한다. 이를 놓고 한쪽에서는 ‘생신’과 ‘생일’의 관계를 예로 들어 가르친다. ‘탄신’에 ‘일’, ‘날’의 의미가 있으니 뜻이 겹친다고 설명한다. 그렇지만 ‘세종대왕 탄신’이나 ‘이순신 장군 탄신’은 낯설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다. ‘탄신’이 아니라 ‘탄신일’이어야 자연스럽고 의미가 잘 통한다고 본다. ‘신’과 ‘일’이 비슷한 의미를 가진 말이기는 하지만, 똑같다고 여기는 건 아닌 것이다. ‘생일’의 ‘일’과 ‘날’과 통한다는 걸 알아도 ‘생일날’이라고도 말한다. ‘생신’에도 ‘날’이 쉽게 붙는다. ‘신’과 ‘일’과 ‘날’이 똑같은 말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뉘앙스, 어감의 차이도 있다.

지금은 ‘부처님오신날’이 됐지만, 오랫동안 부처가 태어난 날을 가리키는 명칭은 ‘석가탄신일’이었다. 불교계는 1975년 ‘석가탄신일’이 공휴일로 지정된 뒤 줄곧 ‘부처님오신날’로 명칭을 변경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석가’가 ‘샤카’라는 인도의 특정 씨족 이름을 가리킨다는 것과 ‘한글화 추세’에 따라 부처님오신날이 더 적합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여기서 ‘한글’은 문자 이름이니 쉬운 우리말을 쓴다는 취지겠다. 이 과정에서 ‘탄신일’과 ‘탄신’의 문제 역시 불거지기도 했다. 불교계는 또 ‘석탄일’이라는 약칭은 광물 석탄과 헷갈릴 수도 있다고 했다. 2017년 10월 10일 국무회의에서 ‘부처님오신날’이 공식 명칭으로 확정됐다.

말은 사소한 것이든 커다란 것이든 늘 논란이다. 불교에서는 언어를 극히 경계한다. 언어는 사실이 아니라 이미지이고 껍데기 같은 것일 뿐이라고도 한다. 언어는 진실을 드러내기보다 쉽게 왜곡할 수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인간은 진실에 이르는 길에 언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도 한다. 적절한 말, 상황을 온전하게 반영하는 말을 찾는 데 끊임없이 수고로울 수밖에 없다.

2021-05-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