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환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박사증에 가짜결혼 증명서까지 이색 제수품으로 본 中의 31일

[박홍환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박사증에 가짜결혼 증명서까지 이색 제수품으로 본 中의 31일

입력 2010-03-31 00:00
수정 2010-03-31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오마(寶馬·BMW의 중국식 이름)를 타고, 별장으로 놀러가 애인과 즐기세요.” 청명절(한식) 연휴를 앞둔 중국에 이색 제수용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종이로 만든 돈을 태워 부(富)에 대한 망자(亡者)의 한을 풀어주는 것은 이미 옛 이야기가 됐다. 빈부격차가 확대될수록 중국의 서민들은 현실의 ‘로망’을 제수용품을 통해 투사하고 있는 듯하다. 어차피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이라면 곧 재로 변할 모형으로라도 마음 속에 간직하겠다는 소망일까?

중국인들의 청명절 제수용품에 대한 집착은 각별하다. 세태의 변화에 따라 제수용품도 발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실제 ‘바오마’ ‘볘수(別墅·별장)’ ‘박사증’ ‘영주권’ 등 최근 유행하는 제수용품은 언론을 통해 종종 등장하는 단어들이다.

유명 연예인도 새롭게 제수용품 목록에 올랐다. 영화배우 장만위(張曼玉)나 가수 차이이린(蔡依林) 등과의 가짜 ‘결혼증명서’가 단돈 50위안(약 8500원)에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젊고 예쁜 여성이나 건장한 남성, 콘돔 모형까지 등장했다. 중국에서는 ‘음란 제수용품’으로도 불린다. 일부는 ‘빗나간 효심’을 질책한다. 하지만 막는다고 없어질지는 의문이다.

중국의 청명절 제수용품이 원래부터 이랬던 건 아니다. 전통적인 것은 역시 ‘종이돈’이다. 불과 20~30년전만 해도 선조의 묘지 앞에 만두나 국수 한 그릇 올리고, 종이 돈을 태우는 게 후손들의 가장 큰 소망이었다. 제수용품 변화의 이유는 역시 사회의 변화와 무관치 않다. 베이징 시민 왕빈(王斌)은 “호화롭고, 역동적인 현대사회에서 살아보지 못한 선조들에게 약간의 돈을 들여 그걸 보여주는 게 뭐가 나쁘냐.”고 되물었다. 그런 점에서 ‘젊고 예쁜 여성’이나 가짜 결혼증명서는 왕빈 등 많은 중국인들에게 이상한 일이 아닐 법도 하다. 어차피 제수용품은 세태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니까.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의 저장대학 펑강(馮剛) 교수는 30일 반관영 중국신문사와의 인터뷰에서 “전통적인 제사 방식을 없애서도 안 되겠지만 온라인제사, 가정제사, 헌화제사 등 새로운 제사 방식을 널리 보급함으로써 청명절을 진짜 청명하게 맞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stinger@seoul.co.kr

2010-03-3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