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뉴리비아’ 지원 움직임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마지막 요새가 함락되자 새로운 리비아의 앞날을 지원하고 논의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이 부쩍 활발해지고 있다.‘뉴리비아’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각종 회의가 잇따를 예정이고 서방국가들을 중심으로 유엔을 통한 리비아 복구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유엔과 리비아 연락그룹 등이 리비아 지원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 주요국이 동결했던 자산을 조속히 해제하는 등 리비아 재건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미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은 이날 “미국이 올해 초 동결한 미국 내 리비아 자산 가운데 10억 달러(약 1조 800억원)에서 최대 15억 달러를 이번 주 안으로 해제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유엔 제재위원회와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제된 동결 자산이 리비아 반군의 조직체인 과도국가위원회(NTC)에 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카다피 이후의 리비아를 위한 프로그램 일부로, 정부수립과 인도적 사업에 필요한 경비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앞서 미국은 리비아 사태가 촉발된 지난 2월 카다피와 리비아 정부의 미국 내 자산 300억 달러를 동결했다. 유럽연합(EU) 등이 동결한 자산은 리비아 국부채권을 기준으로 70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캐서린 애슈턴 EU 외교·안보 최고 대표도 “수십억 달러의 리비아 자산 동결을 해제해 경제복구와 군경 개혁, 반군 정부의 임금 지급 등을 도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리비아의 새 정부 구성을 위한 선거준비와 공공사업 추진을 비롯한 경제회복 등도 ‘뉴 리비아’의 주요 과제로 꼽히고 있다. 26일 미국 뉴욕에서 유엔의 후원 아래 열리는 EU와 아랍연맹(AL), 아프리카연합(AU), 이슬람협력기구(OIC) 등의 전략회의에서도 이 같은 방안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
2011-08-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