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항의로 점철된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시위, 항의로 점철된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입력 2012-07-01 00:00
수정 2012-07-01 15: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일은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지 15년째가 되는 날이지만 이날 홍콩은 즐거운 축제 분위기라기보다는 시위와 항의로 점철됐다.

5년만에 홍콩을 찾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 주석은 홍콩의 통치 정책인 ‘일국양제’(一國兩制·한 나라 두 체제) 원칙을 확인하며 ‘관용’과 ‘단합’을 강조했다. 그러나 후 주석의 홍콩 방문 중 후 주석에게 ‘시끄럽게 질문을 했다’는 이유로 취재 기자가 끌려나가는 일이 발생하는 등 홍콩의 ‘중국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홍콩 일간지 빈과일보의 혼 이유-팅(韓耀庭) 기자는 지난달 30일 홍콩 카이탁 크루즈 터미널을 둘러보던 후 주석에게 “후 주석, 홍콩인들은 6.4(톈안먼 민주화 운동) 사건의 재평가를 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혼 기자는 경찰 통제선 뒤에서 소리쳐 질문했다.

혼 기자는 질문 직후 경찰에 끌려나갔으며 15분간 격리됐다가 후 주석이 터미널을 떠난 후에야 풀려났다. 경찰은 혼 기자에게 ‘너무 시끄럽게 질문을 해 소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라고 격리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경찰은 홍콩의 경제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똑같이 소리쳐 던진 기자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기자협회와 학계, 범민주계 정치인들은 이번 일을 언론 자유에 대한 공격으로 규정하면서 홍콩 경찰이 중국의 공안처럼 되어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막 인-팅(麥燕庭) 홍콩기자협회 회장은 “기자들은 내용과 분량에 상관없이 묻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협회는 항의의 의미로 1일 예정된 거리 행진에 기자들의 참여를 촉구했다.

홍콩 언론계 대표와 편집장 등으로 구성된 ‘신문행정인원협회’와 홍콩 5개 대학의 언론 관련 학자들도 역시 경찰의 행동을 비난하면서 이번 일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홍콩의 의회 격인 입법회의 보안사무위원회 주석(위원장)인 제임스 토 의원 역시 “해당 기자는 아무런 법도 어기지 않았다”면서 경찰이 권한을 남용했다고 비판했다.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도 이어졌다. 경찰은 지난달 30일 주권반환기념 축하공연이 열린 홍콩 전시컨벤션센터와 후 주석의 숙소 인근에 2m 높이의 차단벽을 세워 시위대를 차단했다.

물을 가득 채운 차단벽 속에 갇힌 시위대들은 후 주석의 숙소 호텔 밖에서 확성기를 통해 ‘6.4(톈안먼 민주화 운동) 사건을 재평가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가 차단벽을 무너뜨리려 하는 과정에서 경찰은 최소 세 차례 이상 시위대에 최루액을 발사했으며 2명이 체포됐다 풀려났다.

주권반환 15주년 기념식과 신임 행정장관 취임식이 거행된 1일에도 시위가 계속됐다. 이날 오전 취임식과 기념식이 진행되는 동안 시위대들은 행사장 인근에서 렁춘잉(梁振英) 신임 행정장관의 초상화를 불태우며 “공산당과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등의 구호를 외쳤으며 인근 골든바우히니아 광장에서는 국기 게양식이 거행되는 동안 수백명이 모여 “톈안먼 사건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소리쳤다.

홍콩 시민단체들은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대응과 빈과일보 기자 사건 등과 맞물려 1일 오후 예정된 거리 행진의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수색로변 DMC래미안e편한세상아파트 옆에 위치한 ‘가재울 맨발길’ 약 450mm 구간의 황톳길 정비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맞은편 철길 주변에는 반려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의 관심이 높았던 지역이다. 그동안 가재울 맨발길은 나무뿌리, 돌부리, 모래 등으로 인해 맨발로 걷기에 불편하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최근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맨발 걷기가 큰 인기를 얻으며 서대문구 안산 등 여러 곳에 맨발길이 조성됐지만, 가재울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은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주민들로부터 다수의 민원을 받아 맨발길 정비를 강력히 종용하였고, 이번 정비를 통해 맨발길은 황토 30%와 마사토 70%를 혼합해 걷기 좋게 개선됐으며, 주변 녹지 환경 정비와 간이 운동 시설, 벤치 등이 새롭게 설치되어 앞으로 가재울 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시의원을 비롯한 지방의원의 역할은 정책 개발과 더불어 지역 주민과 소통하며 서울시 예산을 확보해 지역 발전과 지역 주민의 편익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업무”라고 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