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 이후 유방암 검사, 득보다 실 크다

70세 이후 유방암 검사, 득보다 실 크다

입력 2014-09-16 00:00
수정 2014-09-16 1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0세 이후에는 유방암 검사를 받는 것이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 메디컬센터의 헤리트 얀-리페르스 박사는 70세 이후의 유방암 검사는 생명을 위협하는 진행성 유방암 진단율은 낮은 반면 수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작은 종양 발견율이 높아 과잉진단에 의한 과잉치료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5일 보도했다.

1995~2011년 사이에 유방암 진단을 받은 2만5천414명을 추적조사한 결과 이 같은 분석이 나왔다고 얀-리페르스 박사는 밝혔다.

네덜란드는 1998년 유방암 검사의 연령 상한선을 69세에서 75세로 연장했기 때문에 1998년 이전과 이후의 통계 비교가 가능했다.

암세포가 다른 부위로 전이된 진행성 유방암 발생률은 전체적으로 10만명 당 58.6명에서 51.8명으로 약간 줄었다.

그러나 초기 단계 유방암 발생률은 유방암 검사의 연령 상한선이 연장되기 전의 10만명 당 248.7명에서 그 이후에는 362.9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69~75세 연령층의 경우 수명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초기 암 발견으로 필요하지 않은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의 견디기 어려운 고통을 받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얀-리페르스 박사는 지적했다.

다시 말해 70세 이후의 유방암 검사는 유방암 발견의 이익보다는 그로 인한 과잉진단과 과잉치료의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70대 노인들은 수술과 항암치료의 부작용에 매우 취약하며 따라서 생활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고 얀-리페르스 박사는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