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성장 감속 때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스탠리 피셔 부의장은 11일(현지시간)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에 대해 “이는 예상일뿐, 약속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은 금리 인상시가가 연내가 될 것이라는 일반적 관측과는 달리 내년 이후로 미뤄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피셔 부의장은 페루 리마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를 계기로 한 국제금융전문가그룹인 G30의 국제금융 세미나에 참석, 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첫 금리 인상 시점과 뒤이은 연방 기준금리 목표 조정은 향후 경제의 진전 상황에 결정적으로 달려있다”고 강조했다고 블룸버그 등이 전했다.
연준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2월부터 ‘제로금리’로 불리는 현재의 기준금리(0~0.25%)를 유지하고 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지난 5월 “올해 안 어느 시점”에 금리인상을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밝힌 후 이달이나 12월 인상이 예상됐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경기 불안이 두드러지면서 금리 인상 시점이 내년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피셔 부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세계 경기 부진으로 완만하게 확장해온 미국 경제에 악영향이 미칠 경우, 연준의 연내 금리인상 예상이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앞서 연준의 지난 9월 금리 동결과 관련, “그 결정은 부분적으로 금리를 정상화하기에 앞서 글로벌 경제, 특히 중국 경제에서 비롯되는 최근의 전개상황을 평가하는데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피셔 부의장은 이날 연설에서 세계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미국의 수출부진, 저유가에 따른 투자감소, 미국의 일자리 증가 둔화 등으로 향후 미국 경제 동향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최근 상황들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한 것인지, 그래서 미국의 정책 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를 현재로서는 예측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