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온라인 시장으로 부상했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2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온라인을 통한 전자상거래 규모는 2조7천898억 위안(약 501조)으로 전년 대비 49.7% 급증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시장을 가진 나라가 됐다고 관영 영자지 글로벌 타임스가 30일 보도했다.
중국의 온라인 상거래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로 확대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지난해 중국에서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한 소비자는 3억6천100만명으로 전체 소비자의 56%에 달했다. 온라인을 통한 거래 규모는 전체 소매판매의 20%를 차지했다.
중국의 온라인 시장 성장세는 제12차 5개년 계획(12·5규획, 2011∼2015년) 기간에 두드러졌다.
지난 5년간 인터넷과 연관 있는 중국의 상장기업은 328개로 늘어났고 시가총액은 7조8천500억 위안으로 중국 증시 전체의 25.6%를 차지했다.
휴대전화는 컴퓨터를 제치고 중국에서 온라인 거래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1위 품목이 됐다.
이밖에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중국인은 5억9천400만명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향후 제13차 5개년 계획 기간(2016년~2020년)에도 IT 융합정책인 ‘인터넷 플러스’ 진흥책을 중심으로 온라인 시장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2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온라인을 통한 전자상거래 규모는 2조7천898억 위안(약 501조)으로 전년 대비 49.7% 급증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시장을 가진 나라가 됐다고 관영 영자지 글로벌 타임스가 30일 보도했다.
중국의 온라인 상거래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로 확대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지난해 중국에서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한 소비자는 3억6천100만명으로 전체 소비자의 56%에 달했다. 온라인을 통한 거래 규모는 전체 소매판매의 20%를 차지했다.
중국의 온라인 시장 성장세는 제12차 5개년 계획(12·5규획, 2011∼2015년) 기간에 두드러졌다.
지난 5년간 인터넷과 연관 있는 중국의 상장기업은 328개로 늘어났고 시가총액은 7조8천500억 위안으로 중국 증시 전체의 25.6%를 차지했다.
휴대전화는 컴퓨터를 제치고 중국에서 온라인 거래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1위 품목이 됐다.
이밖에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중국인은 5억9천400만명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향후 제13차 5개년 계획 기간(2016년~2020년)에도 IT 융합정책인 ‘인터넷 플러스’ 진흥책을 중심으로 온라인 시장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