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은 마윈·스필버그, ‘영화 제국’ 세우나

손잡은 마윈·스필버그, ‘영화 제국’ 세우나

김규환 기자
입력 2016-10-10 22:48
수정 2016-10-11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리바바, 엠블린 지분 일부 인수

제작·투자·배급까지 공동제작
中시장·美 할리우드 진출 ‘윈윈’
왕젠린 ‘영화 굴기’에 도전장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마윈(왼쪽) 회장이 미국 할리우드의 스티븐 스필버그(오른쪽) 감독과 손을 잡았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알리바바 자회사인 알리바바 픽처스는 스필버그 감독의 제작사 엠블린파트너스와 ‘전면적 전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가 엠블린의 지분을 인수하는데 인수금액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알리바바는 엠블린의 지분 일부를 인수하는 대가로 이사회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WSJ가 전했다.

지난해 설립된 엠블린은 드림웍스 스튜디오, 파티시펀트미디어, 릴라리언스 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원 등이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돼 있다. 2014년 설립돼 홍콩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는 아직 자체 제작은 하지 않고 있으나 ‘미션임파서블’과 ‘스타트랙’, ‘닌자터틀’ 등 할리우드 영화에 투자한 바 있다. 이들 두 기업은 세계를 상대로 영화 제작·투자·홍보·배급을 함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엠블린은 안정적인 투자자를 확보해 급성장하는 중국 영화계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알리바바는 스필버그 감독과의 협력을 통해 할리우드에 우회적으로 진출하는 기회를 잡았다.

컨설팅업체 아티잰케이트웨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박스오피스 규모는 68억 달러(약 7조 5371억원)이다. 미국 박스오피스는 111억 달러에 이른다.

베이징에서 열린 전략 파트너십 체결식에 참석한 마 회장과 스필버그 감독은 양사 협력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마 회장은 “중국에 고급 글로벌 콘텐츠를 원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번 (엠블린과의) 파트너십이 ‘문화의 다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스필버그 감독은 “엠블린과 알리바바는 중국적인 이야기를 미국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더 많은 중국적인 것을 미국에, 미국적인 것을 중국에 가져다 줄 것”이라고 화답했다.

특히 마 회장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부동산 사업에서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해 ‘영화 굴기’에 나선 최고 부자 왕젠린 다롄완다그룹 회장에게 도전장을 냈다는 분석이다. 다롄완다는 앞서 미국 극장체인 AMC 엔터테인먼트와 영화제작사 레전더리엔터테인먼트 등을 잇따라 인수한 데 이어 소니 픽처스와도 손잡았다. 또 골든글러브 시상식과 미스 아메리카 등을 주관하는 딕클라크프로덕션 인수 협상과 파라마운트 지분 인수에도 뛰어들며 ‘영화제국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10-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