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미국 버지니아주 애슈번에 있는 한 흑인학교 건물에 10대 청소년 5명이 인종차별 내용을 담은 낙서를 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백인 2명과 소수민족 3명인 이 청소년들은 나치 문양과 ‘백인의 힘(White power)’이라는 문구를 적었다. 재판을 받게 된 이들에게 법원이 내린 판결은 다름아닌 ‘독서’였다.
뉴욕타임스는 8일(현지시간) 법원이 인종차별 행위를 한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 10대 청소년 5명에게 독서목록 35편을 제시하며 앞으로 1년 동안 한 달에 한 권씩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도록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이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혐의는 시인했지만 적어도 한 명 이상은 나치 문양이 어떤 의미인지 알지 못한다고 검사에게 말한 것에 착안한 것이다.
법원이 제시한 독서목록에는 유대계 작가 엘리 위젤의 홀로코스트(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 회고록인 ‘밤’(Night), 아프가니스탄 소년들의 이야기를 그린 할레드 호세이니의 ‘연을 쫓는 아이’ 등이다.
이들은 또 워싱턴DC에 있는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일본계 미국인 격리수용 전시관’ 등도 의무적으로 방문해야 한다. 아울러 나치 문양이나 ‘백인의 힘’ 같은 문구가 흑인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보고서를 써야 한다. 나치즘이나 각종 차별적 법률에 대한 참고문헌도 포함해야 한다.
이들은 얼마나 성실하게 명령을 이행하는지 보호관찰관으로부터 점검을 받게 된다.
알레한드라 루데아 검사는 “처벌로서 독서 목록을 선정한 것은 19년 검사경력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며 “이들 10대들이 관련 서적을 읽고 깨닫는다면, 역사적 아픔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뉴욕타임스는 8일(현지시간) 법원이 인종차별 행위를 한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 10대 청소년 5명에게 독서목록 35편을 제시하며 앞으로 1년 동안 한 달에 한 권씩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도록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이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혐의는 시인했지만 적어도 한 명 이상은 나치 문양이 어떤 의미인지 알지 못한다고 검사에게 말한 것에 착안한 것이다.
법원이 제시한 독서목록에는 유대계 작가 엘리 위젤의 홀로코스트(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 회고록인 ‘밤’(Night), 아프가니스탄 소년들의 이야기를 그린 할레드 호세이니의 ‘연을 쫓는 아이’ 등이다.
이들은 또 워싱턴DC에 있는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일본계 미국인 격리수용 전시관’ 등도 의무적으로 방문해야 한다. 아울러 나치 문양이나 ‘백인의 힘’ 같은 문구가 흑인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보고서를 써야 한다. 나치즘이나 각종 차별적 법률에 대한 참고문헌도 포함해야 한다.
이들은 얼마나 성실하게 명령을 이행하는지 보호관찰관으로부터 점검을 받게 된다.
알레한드라 루데아 검사는 “처벌로서 독서 목록을 선정한 것은 19년 검사경력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며 “이들 10대들이 관련 서적을 읽고 깨닫는다면, 역사적 아픔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