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마이니치 신문, 정보기관 관계자 인용 보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 암살 사건과 관련해 북한 국적 용의자들이 범행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공항내 폐쇄회로(CC)TV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정보를 입수해 동선을 고스란히 노출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보를 잘못 입수해 공작원으로서 어이없는 실수를 해서 결국 꼬리가 잡혔다는 의미다.
연합뉴스
피습 직후의 김정남
말레이시아의 뉴스트레이츠타임스가 18일 보도한 피습 직후 쿠알라룸푸르 공항 내 의무실 소파에 정신을 잃고 누워 있는 김정남의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사정이 이런데도 북한 국적 용의자들은 그말을 믿고 과감한 범행을 했다가 그 과정에 대부분 녹화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마이니치신문 기자가 지난 23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제2청사에서 공항 직원 등에게 ‘방범 카메라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데,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느냐’고 묻자 대답을 준 8명 중 6명이 ‘작동되고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공항 CCTV에는 2명의 여성에게 피습당한 김정남이 스스로 공항 직원에게 가서 피습 내용을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고 공항 진료소로 가는 모습이 녹화됐다.
말레이시아 경찰은 김정남을 살해하는데 쓰인 VX가 북한대사관이 본국과 주고받는 외교행낭을 통해 해외에서 밀반입됐을 가능성과 자국내에서 제조됐을 가능성 등을 놓고 분석중이다. 뉴스트레이츠타임스는 경찰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말레이시아 경찰이 지난 23일 북한 국적 용의자 4명이 임대한 쿠알라룸푸르의 한 고급 콘도를 수색해 다수의 화학 샘플을 확보했지만 VX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암살 사건으로 북한의 정보기관인 정찰총국(RGB)이 말레이에서 운영하던 ‘글로콤’의 활동도 위축될 전망이다.
대북제재를 감사하는 유엔의 전문가 패널이 지난 24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지난해 7월 글로콤이 판매한 북한의 군사용 통신장비가 중국에서 아프리카 에리트레아로 운송되던 도중 포착됐다.
실제로 글로콤은 말레이에 개통된 홈페이지를 통해 군사, 준군사 조직을 위한 30여개의 통신 체계를 판다고 광고해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 같은 거래는 2009년 북한의 군사 장비와 모든 관련 물품의 거래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874에 어긋나는 것이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