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도 ‘관광세’ 도입…외국인 관광객에 ‘10달러’ 부과

발리도 ‘관광세’ 도입…외국인 관광객에 ‘10달러’ 부과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1-23 09:44
수정 2019-01-23 09: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환경과 문화보존 명목으로 출국 시 징수

8일 인도네시아 발리 덴파사르 인근 대로변에 발리 전통 의상을 입은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AFP=연합뉴스자료사진]
8일 인도네시아 발리 덴파사르 인근 대로변에 발리 전통 의상을 입은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AFP=연합뉴스자료사진]
인도네시아의 유명 휴양지인 ‘발리섬’ 주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에게 환경과 문화보존을 위한 세금 10달러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23일 CNN 등이 현지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와얀 코스테르 발리 주지사는 자카르타 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세금을 항공권 가격에 포함하는 방안과 공항 카운터에서 징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발리 지방의회 의장도 “관광객들은 우리의 환경과 문화를 즐기러 온다. 그렇다면 그것을 보존하는 데도 기여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발리 주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 출국 시 10달러를 징수하는 방안을 초안으로 마련했으며, 인도네시아인에게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발리섬은 전체 인도네시아 관광객의 3분의 1 이상이 몰릴 정도로 인기 휴양지이다.

2017년 발리 관광객은 570만명이었고, 2018년에는 더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발리 주 정부는 관광객이 버리고 가는 쓰레기 문제를 더는 방치하면 안 된다고 보고 지난달 비닐봉지와 스티로폼, 플라스틱 빨대 등 3가지 제품의 사용을 금지한다는 규제안을 발표했다.

최근 세계 유명 관광지에서 넘쳐나는 관광객으로 인한 환경 오염, 주민 생활 여건 악화 등을 이유로 관광세 도입 등의 움직임이 확산하는 추세다.

일본은 이달 7일부터 2세 이상의 모든 자국민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항공기와 선박으로 출국할 때 1인당 1천엔(약 1만원)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지난달 유명 관광지인 ‘타지마할’의 입장료를 인상했다.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는 크루즈 관광객이 하루 동안 도시를 관광하는데 11달러의 세금을 징수해 지역 호텔 손실을 보전하는 데 활용하며,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와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도 비슷한 조치를 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박춘선 서울시의원, 우리 동네 ‘누구나 걷기 편한 명품 공원길’ 완성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9일 문현섭 구의원(강동구, 국민의힘), 강동구 푸른도시과와 함께 강동구 상일동 일대에 위치한 명일근린공원을 찾아 무장애 데크길 조성사업의 완료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주민들과 함께 완공을 축하했다. 본 사업은 서울시 2024년 본예산 8억원이 편성되어 추진된 것으로, 공원 내 493m(폭 1.5m~1.8m) 구간에 데크길을 설치하고, 흙먼지털이기 1개소 교체, 수목식재 및 경관조명 설치 등이 포함된 정비사업이다. 2024년 10월 공사 발주 및 계약을 거쳐 11월 착공에 들어갔으며, 올해 6월 27일 공사가 최종 마무리됐다. 특히 데크길 설치를 통해 수목이 자라는 녹지공간을 보호하고 이동약자·휠체어·유모차·어르신 등 공원을 찾는 모든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박 의원은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한 명일근린공원은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중요한 생활공간”이라며 “누구나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공원길이 완성된 것은 주민들의 건강증진 및 여가복지의 질을 높이는 큰 성과”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박 의원이 서울시 예산 확보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원, 우리 동네 ‘누구나 걷기 편한 명품 공원길’ 완성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