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 카드’ 직후… 美 “중동에 1000명 추가 파병” 압박 강화

이란 ‘핵 카드’ 직후… 美 “중동에 1000명 추가 파병” 압박 강화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9-06-18 23:54
수정 2019-06-19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협 대처 목적… 충돌 바라지 않아”

유조선 피격 관련 추가 사진 공개도

핵합의 이행을 일부 철회하겠다는 이란의 발표에 미국이 중동 지역 병력 증원으로 맞대응했다. 오만 호르무즈해협에서 일어난 유조선 피격사건 뒤 양국 간 긴장감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CNN, AP 등 보도에 따르면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부 장관 대행은 “중동에서 공중, 해상, 지상의 위협에 대처하는 방어 목적으로 병력 1000명의 추가 파견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미국은 이란과의 충돌을 바라진 않는다”면서 “해당 지역에서 국가의 이익을 보호하는 우리 군의 안전과 안녕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승인된 병력 1000명은 지난달 24일 미국이 파병을 승인한 1500명에 새로 추가되는 인원이다.

추가 파병 승인은 이날 앞서 이란이 2015년 미국 등 6개국과 맺은 핵합의 중 우라늄과 중수 보유량, 농축우라늄 순도 제한을 폐기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나왔다. 2015년 합의로 이란은 핵을 동결·폐기하는 대가로 국제사회에 제재 완화와 경제적 도움을 받기로 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해 협정에서 탈퇴했다. 그 뒤 이란은 나머지 국가들과 협의가 진전되지 않자 지난달 8일부터 핵 카드를 한 장씩 뽑아 들고 있다.

그러던 중 유조선 두 척이 피격됐고 미국은 최근 중동에서 일어난 비슷한 사건들과 마찬가지로 배후에 이란이 있다고 지목했고, 이란은 미국의 자작극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은 17일 이란 혁명수비대로 의심되는 인원들이 피격 선박에 붙은 불발 기뢰를 제거하는 장면이 담긴 추가 사진도 공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선 공약부터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 파병은 철군한다’는 노선을 걸어왔지만, 최근 중동 파병은 ‘국익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외신은 양측이 서로를 압박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뉴욕타임스 등은 이란이 앞으로 보유하겠다고 발표한 순도 20% 우라늄으로 90% 핵무기용 우라늄을 만드는 것은 3.67% 우라늄이 순도 20%에 도달하는 것보다 훨씬 쉽다고 보도했다. USA투데이는 칼럼을 통해 “미국과 테헤란이 조만간 폭격을 감행할 것으로 보이며, 한쪽은 당장 이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 애를 먹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9-06-1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