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행복 수준이 세계 최하위권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10년 안에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기대감은 꼴찌였다.
15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의 ‘세계 행복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행복하세요?’라는 질문에 57%만 ‘네’라고 답해 32개국 중 31위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치(73%)보다 크게 못 미치는 수준으로 한국보다 행복도가 낮은 국가는 헝가리(50%)뿐이었다.
중국(91%)의 행복도가 가장 높았고 사우디아라비아(86%), 네덜란드(85%), 인도(84%), 브라질(83%) 순이었다. 미국은 14위(76%), 일본은 29위(60%) 등이었다. 이런 결과에 대해 행복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응답률이 낮아진다는 분석도 있다.
한국인은 자녀(78%), 배우자와의 관계(73%)에서 가장 큰 만족을 느꼈고 국가 경제상황 만족도(21%)와 사회·정치상황 만족도(23%)에서 긍정 응답률이 낮았다.
애인이나 배우자가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도 최하위인 32위였다. 싱글인 한국인 중에서 10년 안에 사랑하는 애인이나 배우자를 만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사람의 비율이 더 쉬워질 것이라고 답한 사람의 비율보다 58%포인트 더 많았다. 이는 31위인 헝가리·벨기에(46%)와 비교해도 12%포인트나 높은 압도적인 수치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