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7 외교장관회의 참석한 각국 장관들. AP연합뉴스
●G7, 한일 해빙무드에 확대설 제기
베단트 파텔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한국을 포함해 G8로의 확대 가능성에 대해 “돌아오는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회원국 변화와 관련해 어떤 논의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며 “물론 우리는 회의가 열리는 것을 우선 봐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일각 “G20과 역할 겹쳐 실익 적다”
G8 확대설 배경에는 한일 관계가 최근 해빙되면서 일본도 한국의 G7 가입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 있다. 그간 G10(G7+한국·호주·인도) 혹은 G11(G7+한국·호주·인도·러시아) 출범 가능성이 거론된 바 있다. 다만 워싱턴DC 외교가에서는 G7을 확대할 경우 이미 한국이 참여하는 G20과의 구성이나 역할이 겹칠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또 사실상 G7이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하기 때문에 한국이 가입을 통해 얻을 실익이 적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시다 “안보협력 통한 억지력 강화”
한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5일 아사히신문 등과의 인터뷰에서 G7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21일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지역 안보 환경이 더욱 어려워지는 가운데 미일, 한일, 한미일의 안보 협력에 의한 억지력, 대처력 강화는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일, 미일이 함께 대응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한미일 3국이 중국의 군사력 강화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응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023-05-1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