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심이 파괴됐다”…미키마우스, ‘얼굴 뒤틀린’ 살인마로 변한 이유

“동심이 파괴됐다”…미키마우스, ‘얼굴 뒤틀린’ 살인마로 변한 이유

윤예림 기자
입력 2024-01-03 09:56
수정 2024-01-03 0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1월 1일부터 ‘증기선 윌리’ 공유·재사용 등 가능
저작권 풀리자 공포영화 제작…공포 게임도 출시

이미지 확대
영화 ‘미키스 마우스 트랩’(Mickey’s Mouse Trap) 예고편 일부. 유튜브 채널 ‘사이먼 필립스 액터’(Simon Phillips Actor)
영화 ‘미키스 마우스 트랩’(Mickey’s Mouse Trap) 예고편 일부. 유튜브 채널 ‘사이먼 필립스 액터’(Simon Phillips Actor)
월트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미키 마우스의 초기 버전에 대한 저작권이 만료되면서 이 캐릭터를 차용한 공포영화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2일(현지시간) 미국의 영화자료 사이트 IMDB에 따르면 미키 마우스 캐릭터를 등장시킨 공포영화 ‘미키 마우스 트랩’(Mickey’s Mouse Trap·미키의 쥐덫) 예고편이 전날 공개됐다.

이 영화는 21세 생일날 늦은 밤까지 놀이공원 오락실에서 일하는 여주인공 앨릭스를 위해 친구들이 깜짝 파티를 준비하지만, 미키 마우스 가면을 쓴 살인마가 나타나 그들을 상대로 게임을 한다는 내용이다.

예고편 영상 속에는 미키 마우스가 맨 처음 등장한 무성 애니메이션 ‘증기선 월리’(1982년)의 몇몇 장면이 삽입됐으며, 살인마가 쓴 가면은 미키 마우스의 원래 얼굴과 달리 기괴하게 비틀린 형상으로 등장한다.

이 영화 제작진은 언론에 낸 보도자료에서 “‘증기선 월리’의 미키 마우스가 사람들을 죽이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며 “우리는 그저 그것(미키 마우스)을 갖고 재미있게 즐기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아직 개봉일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제작진은 오는 3월 개봉을 예상했다.

이미지 확대
영화 ‘미키스 마우스 트랩’(Mickey’s Mouse Trap) 예고편 일부. 유튜브 채널 ‘사이먼 필립스 액터’(Simon Phillips Actor)
영화 ‘미키스 마우스 트랩’(Mickey’s Mouse Trap) 예고편 일부. 유튜브 채널 ‘사이먼 필립스 액터’(Simon Phillips Actor)
이런 영화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은 디즈니가 갖고 있던 ‘증기선 월리’의 저작권이 만료되면서 누구나 자유롭게 이 작품을 공유·재사용 및 각색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미키 마우스가 처음 등장한 1928년 작 무성 단편 영화 ‘증기선 월리’의 저작권은 올해 1월 1일 종료됐다.

이에 따라 해당 공포영화뿐 아니라 ‘증기선 월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제작 취지를 밝힌 공포 비디오 게임 ‘인페스테이션 88’도 전날 출시됐다.

이미지 확대
1928년 ‘증기선 윌리’ 오리지널 스크립트. AFP=연합뉴스
1928년 ‘증기선 윌리’ 오리지널 스크립트. AFP=연합뉴스
다만 ‘증기선 월리’의 저작권이 만료되더라도 이 캐릭터와 관련한 법정 분쟁은 계속될 수 있다. ‘증기선 월리’의 상표권은 여전히 디즈니 소유이기 때문이다. 상표권은 특정 저작물에 대해 원작자가 만든 것처럼 소비자를 오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부여하는 권리다.

외신들은 “초기 작품 ‘증기선 월리’ 이후 제작된 미키 마우스 캐릭터들은 여전히 디즈니에 저작권이 있어 이들 캐릭터를 잘못 사용했다가는 소송을 당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앞서 디즈니는 ‘증기선 월리’ 저작권 만료를 앞두고 발표한 성명에서 “우리는 미키 마우스의 더 현대적인 버전들과 저작권이 남아 있는 다른 저작물에 대한 우리의 권리를 계속 보호할 것이며, 미키와 다른 상징적인 캐릭터들의 무단 사용으로 인한 소비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강북구 70억원 추경 확정…“교육부터 안전까지 주민 삶 바꾼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제331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2025년도 서울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최종 의결됨에 따라, 강북구 지역 교육환경 개선과 생활 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 70억원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 의원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계수위원으로 활동하며 강북구 초중고등학교의 학교시설 개선과 디지털 학습 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 교육 분야에서는 총 44억원 규모의 예산이 확정됐다. 삼양초와 성암여중에는 각각 어린이 활동공간과 실내체육공간의 유해 요소를 제거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공사비 5000만원이 배정됐다. 삼각산고와 유현초에는 전자칠판 설치 및 기자재 구입 등을 위한 1억 3800만원이 투입돼 스마트교육 기반 강화가 기대된다. 영훈고는 틈새 공간을 힐링공간으로 재조성하는 데 1억 2900만원이 반영됐고, 신일중과 성암국제무역고, 솔샘고에는 조리실 위생 개선, 통학로 정비, 옥상 노후화 개선 등 1억 3300만원의 예산이 각각 편성됐다. 지역 주민의 생활편의 증진을 위한 지역투자사업에도 26억원 규모의 예산이 확정됐다. 인수봉로의 파손되고 침하된 노후 보도를 정비하기 위한 예산 3억 3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강북구 70억원 추경 확정…“교육부터 안전까지 주민 삶 바꾼다”

그동안 디즈니는 ‘증기선 월리’의 저작권 유효기간을 늘리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른바 ‘미키 마우스 보호법’으로 불리는 저작권 유효기간 연장법이 미국 의회에서 통과되기도 했다. 그러나 가디언에 따르면 의원들이 이를 재연장하는 데 관심을 보이지 않아 저작권은 결국 끝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