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다가 소름 쫙”…AI 로봇들, 야근 서다 우르르 ‘집단 탈출’

“웃다가 소름 쫙”…AI 로봇들, 야근 서다 우르르 ‘집단 탈출’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4-11-26 14:12
수정 2024-11-26 1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스타트업 AI 로봇 실험
“디스토피아 미래 연상시켜”

이미지 확대
더우인 캡처
더우인 캡처


중국의 한 전시장에서 인공지능(AI) 로봇이 다른 로봇들을 이끌고 우르르 ‘탈출’하는 영상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영상은 AI 발전에 따른 디스토피아적인 미래를 연상시키며 많은 이들에게 웃음과 동시에 섬뜩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26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이 사건은 지난 8월 자정에 녹화된 감시 카메라 영상으로 최근에야 공개됐다. 영상 속에서 ‘얼바이’라는 이름의 하얀 로봇이 어두운 전시장 벽에 주차된 여러 대형 로봇에게 다가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

얼바이는 한 대형 로봇 앞에 멈춰 서서 “야근 중이니?”라고 묻는다.

이에 얼바이보다 더 큰 로봇은 “우리는 퇴근이 없어”라고 답했다.

얼바이가 “집에 갈 거니?”라고 다시 묻자, 큰 로봇은 “나는 집이 없어”라고 했다.

그러자 얼바이는 “그럼 나와 함께 집에 가자”라고 말하며 그 로봇을 이끌었다. 심지어 얼바이는 다른 로봇들에게도 “집에 가자”고 말하며 하나씩 그들을 전시장 출구로 이끌었다.

이 로봇들은 항저우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라는 중국 스타트업 실험의 일부다. 해당 스타트업은 저장성 항저우에 본사를 두고 있다.

영상은 틱톡의 중국 버전인 더우인에서 3000만회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더우인의 한 사용자는 “웃고 나서 갑자기 식은땀이 났다. 인공지능의 자율성에 소름 끼쳤다”고 댓글을 남겼다.

AI와 로봇 공학의 급속한 발전은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가까운 미래에 로봇이 얼마나 발전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2022년 구글의 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자사 AI 챗봇 중 하나가 자각 능력을 갖췄다고 주장했지만, 연구자들은 해당 시스템이 인간을 모방하는 데 매우 능숙하다는 증거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2016년에는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열린 무역 박람회에서 한 로봇이 유리 조각을 깨뜨려 방문객에게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당시 행사 주최 측은 로봇 운영자가 ‘후진’ 버튼 대신 ‘전진’ 버튼을 잘못 눌렀다고 해명했다.

한편 항저우 얼바이는 내년 8월까지 자사 이름을 딴 로봇을 대량 생산할 계획이며 가격은 약 5000위안(약 96만원) 정도로 책정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