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 문양의 북을 든 사무라이, 이런 게 올림픽 정신이라고?

태극 문양의 북을 든 사무라이, 이런 게 올림픽 정신이라고?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7-23 12:33
수정 2021-07-23 12: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의 예술가 집단이 2020 도쿄올림픽 개막에 맞춰 대회에 참가하는 200여 나라의 국기와 선수 이미지를 사무라이 풍으로 꾸며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올림픽 정신과 사무라이를 동경하는 일본 문화를 접목시키려 했다는데 태극 문양과 사무라이를 결부시키는 이미지를 선뜻 받아들이기 어렵다. 더욱이 명성왕후가 사무라이 출신들에 시해당한 아픈 역사를 지닌 우리가 이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

야마모토 가마야는 “사무라이는 일본만의 현상이며 우리는 모든 사람이 일본의 전통문화를 알았으면 했다”고 말했다. 그는 작업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각국 국기의 역사와 색채, 디자인, 나아가 문화까지 연구했다고 털어놓았다고 영국 BBC가 23일 전했다. 야마다 고조는 “사람들이 다른 나라를 배우는 방식이 됐으면 했다”면서 “이런 것이 올림픽이 표방하는 가치“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언뜻 보면 대회 홍보 캠페인으로 기획된 것처럼 보이지만 15명의 예술가가 짬을 내 무보수로 참여했다. 그래서인지 200개국 가운데 84개국 것만 완성했다. 트위터로 그 나라 사람들에게 어떤 상징을 어떻게 표현했으면 좋겠는지 투표를 하기도 했다고 했다.

본인들이야 투표가 도움이 됐다고 말하지만 부정적인 반응도 많이 접했다. 예를 들어 스페인 캐릭터를 투우사로 정한 것처럼 고정관념의 결과물일 뿐이란 반발을 들었다. 야마모토도 “세계를 바라보는 일본인의 시각이라 많은 부분이 고정관념화한 것을 인정한다”면서 “투우가 스페인에서 논란을 낳는지 우리는 알지 못했다. 해서 온라인으로 비판을 듣고 바꿨다”고 말했다. 바보란 사실을 털어놓은 것 같아 실소가 터진다.

반면 스리랑카 캐릭터는 좋은 반응을 들었다. 신할, 타밀, 무슬림 등 세 토착 세력마다 색채를 달리 표현한 캐릭터였기 때문이다. 야마모토는 칭찬을 많이 들었다고 자랑했는데 믿기지가 않는다. 일본에 주재하는 온두라스와 베네수엘라 대사관 직원들은 사무라이 캐릭터 사진과 촬영하고 싶어 했단다. 역시나 이게 뭔가 싶다.

예술가들이 그저 대회 흥행에 도움이 될까 싶어 기획하고 실행한 일에 짐짓 과도한 반응을 보이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 경기장이나 대회 내내 공식적으로 소개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온라인으로만 돌아다닐 것 같다. 이런 점을 널리 이해하려 해도 남의 나라 국기를 썩 자랑할 만한 일도 아닌, 낭인(浪人) 캐릭터에 함부로 넣는 용기는 도대체 어디에서 나오는지 묻고 싶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