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 닮은 7천만년전 공룡 두 다리로 육지를 걷는 동시에 물속에서도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종 공룡이 발견됐다. 긴 목과 납작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 외형은 마치 백조처럼 보인다. 이탈리아 지오반니 카펠리니 박물관, 몽골 과학아카데미, 캐나다 앨버타대, 벨기에 왕립자연사박물관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은 몽골 남부 우카 톨고드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공룡임을 확인했다고 6일(영국 런던 시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사진은 연구진이 재구성한 공룡 ’할쯔카랍토르 에스퀼리에이’(Halszkaraptor escuilliei)의 모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백조 닮은 7천만년전 공룡
두 다리로 육지를 걷는 동시에 물속에서도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종 공룡이 발견됐다. 긴 목과 납작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 외형은 마치 백조처럼 보인다. 이탈리아 지오반니 카펠리니 박물관, 몽골 과학아카데미, 캐나다 앨버타대, 벨기에 왕립자연사박물관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은 몽골 남부 우카 톨고드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공룡임을 확인했다고 6일(영국 런던 시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사진은 연구진이 재구성한 공룡 ’할쯔카랍토르 에스퀼리에이’(Halszkaraptor escuilliei)의 모습. 연합뉴스
두 다리로 육지를 걷는 동시에 물속에서도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종 공룡이 발견됐다. 긴 목과 납작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 외형은 마치 백조처럼 보인다. 이탈리아 지오반니 카펠리니 박물관, 몽골 과학아카데미, 캐나다 앨버타대, 벨기에 왕립자연사박물관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은 몽골 남부 우카 톨고드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공룡임을 확인했다고 6일(영국 런던 시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사진은 연구진이 재구성한 공룡 ’할쯔카랍토르 에스퀼리에이’(Halszkaraptor escuilliei)의 모습.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