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獨 분단의 벽 그래픽 재현

20년 전 獨 분단의 벽 그래픽 재현

입력 2010-11-05 00:00
수정 2010-11-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다큐 ‘베를린장벽’

올해는 독일이 통일한 지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또 다음 주는 베를린 장벽 붕괴 21주년이다. 9~10일 오후 11시 10분에 방영되는 EBS ‘다큐10+’에서는 독일 2TV공영방송(ZDF)의 2부작 다큐멘터리 ‘베를린장벽’을 방영한다. 관련 영상 자료와 컴퓨터 그래픽을 동원해 장벽이 있을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재연했다.

이미지 확대
대규모 탈출을 막기 위해 동독 정부가 건설한 베를린 장벽 위에 선 동독 보초.
대규모 탈출을 막기 위해 동독 정부가 건설한 베를린 장벽 위에 선 동독 보초.
베를린장벽은 1961년부터 1989년까지 28년간 베를린을 동서로 나눴던 건축물이다. 단순한 건축물이라기엔 너무도 무서웠던 공포의 지대다. 200만t이 넘는 콘크리트와 70만t의 강철이 투입됐고 요소요소마다 경비견, 대전차 지뢰, 대인 지뢰, 철조망, 저격 지대, 자동 발포되는 총, 고압 전류 등이 배치됐다.

1부에서는 2차 세계대전 종전부터 장벽 건설까지의 시기를 다뤘다. 분단 초기 수십만명의 동독인들이 서독으로 탈출했다. 그때만 해도 도로와 지하철이 드문드문 연결되어 있던 때라 자동차로, 전철로 어떻게든 빠져나갔다. 보다 못한 동독 정부는 거대 장벽 건설에 나섰다.

장벽 건설에 쾌재를 불렀던 것은 동독 정부만이 아니었다. 미국도 내심 흐뭇해했다. 우발적이고 국지적인 충돌 가능성이 있음은 바람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미국 정부는 장벽 덕분에 동부 유럽의 전쟁 공포가 완화됐다고 판단했다.

2부에서는 1970년대 동서 화해 정책, 데탕트 정책과 장벽의 관계를 다뤘다. 장벽으로 동·서베를린은 차단됐지만, 탈출 행렬은 끝이 없었다. 동독의 악명 높은 비밀경찰 조직 슈타지가 팽창했던 것도 이 때문이었다. 장벽에 다다라서야 탈출을 막는 것보다 그 전에 미리 감시하자는 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감시는 한순간에 증발해버렸다. 소련의 개혁 개방 정책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남겨진 상처는 크다. 탈출을 감행한 동독 인구는 40만명 정도, 이 가운데 사망한 사람은 1300여명 정도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는 추정일 뿐이다. 동독 정부가 관련 사실을 철저히 은폐했기 때문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1-0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