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ㆍ평창ㆍ뉴욕서 올림픽 유치기원 大합창

서울ㆍ평창ㆍ뉴욕서 올림픽 유치기원 大합창

입력 2011-05-14 00:00
수정 2011-05-14 2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병국 “우리 뜻 IOC위원들에 다 전달되도록 할 것”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염원하는 합창이 서울과 평창, 그리고 미국 뉴욕에서 동시에 울려 퍼졌다.

사단법인 월드하모니는 14일 오후 7시(한국시간)부터 2시간 동안 서울광장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 경기장, KBS 뉴욕지국 등 세 곳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기원 국민대합창’ 행사를 열었다.

합창단은 서울과 평창에서 각각 2천18명, 뉴욕에서 교민 50명으로 구성됐다. 2천18명은 2018년을 의미한다. 이들 합창단은 세 지역을 연결한 멀티비전을 통해 노래했다. 일반 시민 관객은 세 곳 합쳐 1만2천여 명(경찰 추산)이 모였다.

연주는 정명훈이 지휘하는 서울시향이 맡았다. 정명훈은 행사에 앞서 서울광장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대합창을 통해 우리 국민이 올림픽 유치를 진심으로 원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며 “이번에는 꼭 유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서울 광장에는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한나라당 전재희 국회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박진, 나경원 의원, 민주당 손학규 대표, 천정배 최고위원, 김진선 전 강원지사 등이 참석했다. 평창에는 최문순 강원지사, 엄기영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부위원장,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자리를 함께 했다.

행사는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 중 ‘개선 합창곡’으로 시작됐다. 곡 중간 트럼펫 팡파르가 울릴 때에는 대형 태극기가 서울광장 잔디밭에 놓인 객석 위를 덮기도 했다. 이어 ‘평창의 꿈’과 ‘아이 해브 어 드림(I Have a Dream)’, ‘희망의 나라로’ 등의 노래가 울려 퍼졌다.

아이돌 그룹 소녀시대와 씨엔블루, 인기 가수 인순이도 노래와 춤을 선보였다. 국악인 안숙선은 제자들과 함께 무대에 올라 ‘새타령’과 ‘진도 아리랑’ 등 민요를 불렀다. 이상화, 이정수, 성시백, 곽윤기, 황영조 등 스포츠 스타도 출연해 올림픽 유치를 기원했다.

정병국 장관은 “그동안 (동계 올림픽 유치에) 두 번 실패했지만, 나는 실패라고 생각 안 한다. 지난 밴쿠버 올림픽에서 종합 5위를 기록하는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며 “오늘 대한민국 국민의 마음을 묶어서 우리의 뜻이 110명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에게 다 전달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행사는 ‘한국 환상곡’과 ‘아리랑’으로 마무리됐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농구계 발전 위해 서울시 실업팀 창단 시급해”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비인기 종목으로 전락하고 있는 농구계의 현실에 공감하고, 농구 종목의 활성화를 위하여 실업팀 창단 등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비판했다. 현재 농구는 1군 중심의 폐쇄적 프로 리그 운영 방식을 유지하고 있어, 대학 졸업 후 프로 진입에 실패한 선수들에게는 농구를 계속할 자리가 없다. 수많은 인재가 유니폼을 벗고 현장을 떠나는 것은 선수 개인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리그 전체를 떠받칠 선수층을 없애 한국 농구 전체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 유소년 농구 클럽 또한 운영 인력 부족과 체육관 확보의 어려움으로 성장이 제한되고 있다. 유소년 축구와 야구가 여전히 각 지역 클럽을 중심으로 왕성하게 운영되는 반면, 농구는 프로 리그 중심의 소수 엘리트 시스템에만 집중된 탓에 생활체육 기반 자체가 취약해지고 인프라가 붕괴되고 있다. 지난 6월 13일, 김경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서울특별시농구협회 이충민 회장은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해법은 실업팀의 도입이라 주장한다. 실업팀은 프로 진출이 어려운 선수들에게 제2의 진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와 연결되어 농구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농구계 발전 위해 서울시 실업팀 창단 시급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