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고 버리는 디자인 그게 바로 추사의 글씨

버리고 버리는 디자인 그게 바로 추사의 글씨

입력 2012-02-25 00:00
수정 2012-02-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고재갤러리 ‘디자인의 덕목’전

더하기보다는 빼기다. 모든 것을 버리고 버린 채 최소한의 것만 남기기. 그게 디자인의 묘미다. 여기다 한가지 요건이 더해진다. 예술을 하려 들지 말 것. 예술은 의식적으로 인간에게 불편함을 불러일으키려 드는 데 반해, 디자인의 핵심은 실용성이다. 그래서 자의식이나 개념 같은 생각마저 버려야 한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작가 헬라 용에리위스(49)의 작품 비드 벌브(Bead Bulb).  학고재갤러리 제공
네덜란드 작가 헬라 용에리위스(49)의 작품 비드 벌브(Bead Bulb).
학고재갤러리 제공
29일부터 3월 20일까지 서울 소격동 학고재갤러리에서 열리는 ‘디자인의 덕목’전은 이 원칙에 충실한 작품들을 모두 한데 모아놨다. 빼기를 강조하는 디자인은 아르누보와 바우하우스 운동을 거쳐 몇 가지 원칙을 만들어왔다. 일단 쓰기 편해야 한다. 쓰임새가 있기 때문에 용도에 적합한 재료가 쓰여야 한다. 아름다운 구조이되 견고해야 한다. 동시에 형태와 색채가 아름다워야 하고 독창성이 엿보여야 한다.

붉은 탁자로 유명한 마르텡 세글리, 화려한 외양보다 작품이 이야기를 담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피에르 샤르팽, 비례와 변형의 기하학적 구조를 강조한 제임스 얼바인 같은 디자이너들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만 쓰되 이를 어떻게 쌓아나가는가에 따라 어떤 미감이 생길 수 있는지 선보였다. 그래서 이들의 작품이 직선적이고 건조하다면, 입체감을 강조해 공예적 성향이 강한 헬라 용에리위스, 간결한 형태에다 부드럽게 물결치는 선들을 강조한 로낭과 에르완 부훌렉 형제 같은 이들의 작품은 시각의 긴장감을 풀어헤쳐 준다.

그냥 이들 현대적 디자인 작품만 모아둔 것은 아니다. 강화반닫이 같은 한국의 전통 고가구와 이우환, 프랑수아 모렐레 같은 작가들의 모노크롬풍 미술 작품들도 함께 선보인다. 엄격한 절제미라는 점에서 상통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가장 강렬한 파격은 추사 김정희의 봉은사 판전 현판의 탁본을 입구에다 전시해뒀다는 점이다. 이 글씨는 추사의 말년 걸작으로 일컬어지는 작품으로, 기교 없이 굵은 필획으로 쓴 것이 마치 조선 백자의 순박한 미감을 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대 디자인의 미감을 이미 추사가 선취한 게 아니냐는 질문이다. (02)720-1524.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2-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