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9명 “월급 스쳐가는 경험” 이유는

직장인 10명 중 9명 “월급 스쳐가는 경험” 이유는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1-06-03 07:43
수정 2021-06-03 09: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7.7%가 “급여가 적어서” 응답

이미지 확대
직장인 10명 가운데 9명은 월급이 통장에 스쳐가는 경험을 하고 있다며, 가장 큰 이유로 ‘급여가 적어서’라고 응답했다.

3일 잡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알바몬과 직장인 8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2.2%가 ‘월급 순삭(순식간에 삭제)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직장인 월급은 평균 2주 만에 소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조사로 물은 월급 소진 기간에 ‘평균 14일’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통장 잔고 부족일 때의 해결 방안은 ‘신용카드 사용(44.5%, 복수응답)’, ‘부모님 및 가족에게 부탁(34.6%)’, ‘현금 서비스 이용(16.5%)’ 순이었다.

월급 순삭을 겪는 이유(*복수응답)는 ‘급여가 적어서’가 응답률 57.7%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카드 대금을 갚느라 남는 돈이 없어서(38.3%)’, ‘집안 살림에 보태야 해서(27.2%)’, ‘충동 소비를 해서(17.8%)’ 등이었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80.9%는 ‘내 통장의 월급을 누가 가장 많이 빼 가는지’란 질문(*복수응답)에 ‘카드사(식비/쇼핑 등 기본 생활비 지출)’라고 답했다. ‘은행(대출)(28.4%)’, ‘집주인(월세)(28.4%)’, ‘통신사(16.7%)’, ‘보험사(13.8%)’ 등이 뒤따랐다. 직장인이 카드 값으로 지출하는 월평균 금액은 ‘약 100만 원’ 선이었다.
직장인이 가장 아까워하는 지출 1위는 ‘집 대출 이자 및 월세(41.7%, 복수응답)’였다. 다음으로는 연령대 별로 차이를 보였다. 가장 아까운 지출 2위로 20대는 ‘교통비(33.2%)’, 30대와 40대는 ‘충동소비(30대 31.4%, 40대 37.1%)’를 꼽았다. 3위는 20대의 경우 ‘충동 소비(32.1%)’, 30대 ‘통신비(27.6%)’, 40대 ‘보험금(34.6%)’이라고 답했다.

직장인 응답자 절반 이상은 수익성이 높을지라도 위험부담이 동반되는 투자 운용보다는 안정적으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은행 저축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급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소액이라도 꾸준히 저축해야 한다(63.9%)’고 답했다. 이어 ‘주식 투자 등 재테크를 해서 돈을 불려야 한다(19.5%)’, ‘내가 지금 당장 하고 싶은 걸 하며 써야 한다(8.3%)’ 등이 뒤를 이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