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위치 덕혜옹주·의친왕 묘 13일~ 11월말까지 임시개방
최근 영화 ‘덕혜옹주’가 550만 관객을 돌파하며 조명을 받고 있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의 묘가 임시 개방된다.
덕혜옹주묘

의친왕묘
덕혜옹주는 고종이 후궁 복녕당 양씨와의 사이에서 낳은 고명딸이고, 의친왕은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다.
고종과 명성황후가 잠든 홍릉(洪陵)과 순종과 순명효황후·순정효황후를 모신 유릉(裕陵)은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황제릉의 격식에 따라 조성됐다. 다른 왕릉은 정자각(丁字閣)으로 향하는 길인 향로(香路)와 어로(御路)가 각각 한 개씩 있지만 홍릉과 유릉엔 향로 양편에 두 개의 어로가 있다. 정자각에 오르는 계단이 정면에도 설치됐고, 석물의 위치와 종류도 다르다.
홍릉과 유릉엔 고종과 순종의 능 외에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과 영친왕비가 묻힌 ‘영원’(英園), 영친왕의 둘째 아들인 이구가 잠든 ‘회인원’(懷仁園) 등이 있다.
문화재청은 “홍릉과 유릉, 영원과 회인원을 제외한 덕혜옹주묘와 의친왕묘는 그동안 공개를 제한해 왔는데, 영화와 소설 등으로 대한제국 황실 가족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져 임시 개방키로 했다”고 전했다.
문화재청은 덕혜옹주묘와 의친왕묘 임시 개방을 맞아 영원에서 덕혜옹주묘로 가는 길에 두 사람의 생애를 보여주는 사진 자료 36점을 전시하고, 홍·유릉과 영원 탐방로에선 조선왕릉 사진전을 진행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9-0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