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속 부처가 설법 중 들어올린 손은…

경전 속 부처가 설법 중 들어올린 손은…

입력 2014-01-28 00:00
수정 2014-01-28 09: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중앙도서관 올 첫 고문헌展…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 등 26종

종교와 문화는 짝을 이뤄 깊은 인연을 맺어 왔다.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장구한 문화의 토양 안에서 자란 덕분이다. 종교의 다른 얼굴이 문화라 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갑오년 새해 국립중앙도서관이 마련한 첫 고문헌 전시인 ‘경전에서 만나는 극락, 불화(佛畵)’전은 조선시대 불화에 담긴 문화적 맥락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오는 3월 30일까지 서울 서초구 반포동 도서관 고전운영실에서 열리는 전시에는 ‘금강반야바라밀경’(剛般若波羅蜜經·보물 제877호),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보물 제1306호) 등 관련 고문헌 26종을 포함해 총 47책이 나왔다. 빛이 바랜 경전, 의식집, 석가의 일대기 등 관련 그림을 통해 당시 문화를 한눈에 훑어볼 수 있다.

도서관 관계자는 “불화는 불교의 종교적 이념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라면서 “조선시대에는 사찰 내외벽에 벽화 양식으로 그러거나 경전의 내용을 표현한 변상도(變相圖·불경을 압축해 그려 놓은 것) 형태로 널리 퍼졌다”고 말했다. 또 손으로 직접 쓴 사경이나 목판으로 간행한 판경에는 경전의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설법도, 관음도, 불상도, 수인도 등 다양한 판화가 전해진다.

전시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 대승불교 대표 경전인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왼쪽)이다. 선조 3년(1570년) 발간된 목판본으로, 두루마리 첫 장에 아미타여래와 석가모니를 나란히 형상화한 변상도는 쉽게 만나기 어려운 그림이다. 여덟 명의 금강과 네 명의 보살이 새겨진 도상과 본문의 내용을 도해한 도상 등 모두 24점의 그림으로 구성됐다. 법상을 앞에 놓고 높은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여래가 오른손을 들어 설법의 자세를 취하는 설법도가 특징이다. 좌우에는 두 명의 제자가 시립하고 이후 사천왕과 비구니, 왕족과 시녀 등이 에워싼 구조다.

석가여래와 약사여래를 그린 ‘묘법연화경’(오른쪽)도 이목을 끈다.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설법을 듣는 사리불, 문수보살, 보현보살과 10대 제자 등이 등장한다. 또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일광보살, 월광보살 등이 배치됐다. 대좌 아래에 ‘이 변상은 인조 24년(1646년) 개간했다’는 기록도 적혀 있다.

전시가 목판에 새겨 찍은 경판화(經板畵)로 채워졌다는 것도 특징이다. 안혜경 주무관은 “팔만대장경처럼 국가가 제작한 대형 목판보다 사찰이라는 민간기관에서 만들고 찍은 것이 더 귀하다”면서 “부처나 보살의 모습을 그린 그림, 여러 수호신의 모습을 담은 그림, 교훈적인 장면을 묘사한 그림 등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1-2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