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편의 고전연극에서 찾아보는 오늘날 한국의 자화상

두 편의 고전연극에서 찾아보는 오늘날 한국의 자화상

입력 2014-12-04 00:00
수정 2014-12-04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극단의 ‘리차드 2세’ 작은신화의 ‘바카이’

고전(古典)을 읽는 건 시대가 변해도 빛이 바래지 않는 통찰과 지혜를 얻기 위함이다. 연말 연극계에 두 편의 고전이 무대에 오른다. 각각 420년과 2500년 전의 작품 속에서 오늘날 한국사회의 자화상을 찾으려 한다.





이미지 확대
리차드 2세
리차드 2세




이미지 확대
바카이
바카이


국립극단의 가을마당 마지막 작품인 ‘리차드 2세’(18~28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달오름극장)는 권력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펼쳐지는 셰익스피어의 전성기 작품이다. 잉글랜드 왕이었던 리처드 2세(1367~1400)는 10세에 왕좌에 올라 숙부의 섭정을 거쳤고, 반대파들과 맞서다 폰티프랙트 성에 감금돼 죽은 인물이다.

셰익스피어는 그가 왕위에서 물러나면서 권력의 무상함과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 과정에서 왕권과 정치의 속성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유려한 독백과 시적인 대사로 표현해냈다. 루마니아 출신으로 유럽에서 차세대 연출가로 꼽히는 펠릭스 알렉사가 연출한다. 국립극단은 “부와 명예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하는 현대인에게 인생의 가치와 삶의 정수, 영원한 것과 덧없는 것을 이야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극단 작은신화의 ‘바카이’(11~21일 서울 종로구 정보소극장)는 그리스 희곡에서 현대사회의 민낯을 발견한다. 고대 그리스 3대 비극 작가 중 하나인 유리피데스의 ‘바카이’는 ‘바커스(디오니소스)의 여신도들’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리스의 변방 테베는 선진 그리스 문화를 받아들여 성공을 이룩했지만, 그곳에서 태어난 디오니소스는 모함으로 쫓겨나 주변의 후진국과 소아시아를 떠돈다. 다시 테베로 돌아온 그는 자신의 제의를 전파해 여인들을 광란의 숭배에 빠지게 하고, 이를 제지하려던 테베의 왕 펜테우스는 돌이킬 수 없는 비극에 휘말린다. 극단 작은신화는 “기존 문화에 이질적인 디오니소스의 문화가 들어오면서 발생하는 충돌과 비극으로, 테베인들이 지켜온 짧은 그리스적 정체성과 문화적인 위선, 편협성을 질타하고 있다”면서 “서구의 문화가 최선인 듯 바라보고 우리보다 후진국으로 여기고 있는 문화를 차별하고 있는 한국을 비판적으로 돌아보려 한다”고 밝혔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12-0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